'일자리 미스매치' 등 구조적 문제..개선 쉽지 않아
세계 경제의 고용 훈풍 속 유독 한국의 실업률이 악화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경제 주축이 돼야 할 청년층 실업률은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청년층 실업률 평균은 6년 연속 하락했지만 한국은 오히려 4년 연속 증가했다. 상승폭은 전체 실업률보다 가파르다. 24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15∼24세 청년층 실업률은 2011년 9.5%에서 2012년 9.0%로 떨어진 뒤
2013년 9.3%로 상승 전환했다.
2014년(10.0%) 두 자릿수에 올라선데 이어 2015년 10.5%, 2016년 10.7%로 4년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전체 실업률이 2014년부터 3년 연속 상승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청년층 실업률 악화가 더 먼저 시작된 셈이다.
전체 실업률과 마찬가지로 4년 연속 청년층 실업률이 증가한 OECD 회원국은 한국, 오스트리아, 터키 등 3개국 뿐이었다.
터키는 최근 4년간 17.0%→17.8%→18.5%→19.5%로 청년층 실업률이 상승곡선을 그렸다. 오스트리아는 2011년 9%에서 6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 11.2%를 기록했다.
전체 OECD 회원국의 청년층 실업률은 금융위기 때를 정점으로 꾸준히 감소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10년 16.7%를 기록했던 OECD 청년층 실업률 평균은 매년 착실히 줄어 지난해 13.0%까지 낮아졌다.
개별 국가로 보면 지난해 미국의 청년층 실업률은 10.4%로 2000년(9.3%) 이후 16년 만에 가장 낮았다.
일본은 청년층 실업률 감소세는 기록적이다. 2003년 10.1%로 현재 한국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 5.2%를 기록, 거의 절반으로 떨어졌다.
유럽연합(EU)의 청년층 실업률 역시 지난해 18.7%로 2008년(15.6%) 이후 가장 낮았다.
그러나 한국의 청년층 실업률은 오히려 금융위기 시절을 훌쩍 뛰어넘고 있다.
지난해 청년층 실업률은 2009년과 2010년의 9.8%보다 오히려 0.9%포인트(p) 높은 수준으로,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의 여파가 남아 있던 2000년(10.8%)에 근접했다.
올해 들어서도 청년층 실업률은 상승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작년 4분기 9.9%에서 올해 1분기 10.0%로 오른 뒤 2분기 10.8%로 상승폭이 커졌다.
이러한 한국의 청년층 실업은 '일자리 미스매치' 등 구조적인 문제이기 때문에 당분간 개선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오준환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인력수급을 보면 일자리보다 시장에 나오는 청년층이 더 많아 내년까지는 안 좋은 추세로 갈 것으로 전망된다"며 "다음달 발표될 일자리 창출 5년 로드맵에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를 줄이고 학력 미스매치를 해소할 방안이 담겨야 한다"고 말했다.
'時事論壇 > 經濟(內,外)'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朝鮮칼럼 The Column] "아직 한국에서 기업을 하십니까?" (0) | 2017.09.25 |
---|---|
韓 경제 이상현상..성장해도 A급 일자리 되레 감소 (0) | 2017.09.25 |
[여명] 현자(賢者)는 황금 거위의 배를 가르지 않는다 (0) | 2017.09.22 |
[중앙시평] 왜 중국 시장은 그리 위험한가 (0) | 2017.09.16 |
[중앙시평] 경제학원론과 정반대의 위험한 소득주도성장 (0) | 2017.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