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18.08.30 남정욱 작가)
'디어 헌터' '택시 드라이버'
남정욱 작가
그 나라에 온 미군은 세 번 놀랐다. 전쟁을 하러 온 그 땅이 너무 아름다워 놀랐고,
전선(戰線)이 없어 놀랐으며, 자신들이 발휘해야 할 용맹이 겨우 마을 사이를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어서 놀랐다. 비취색 논은 끝없이 펼쳐져 있었다.
대나무와 야자수의 마을은 '평화롭다는 건 이런 겁니다' 하며 귓가에 속삭이는 듯했다.
그러나 마을 어귀는 지뢰 천지였고 대나무 숲에서는 수시로 전사(戰士)들이 튀어나와 총질을 하고
귀를 베어 갔다. 베트콩이라 낮춰 부른 남베트남 인민해방군이었다.
'어디에나 있고 어디에도 없는' 이 게릴라들은 쌀과 소금만 먹고 길도 없는 산악 지대를 하룻밤에 50㎞씩 달렸다.
이들의 할아버지들은 지난 1000여 년간 봉건 중국의 압제에 맞서 싸웠다. 이들의 아버지 세대는 바로 직전 100년 동안
(1858~1954년) 프랑스의 착취에 항거했다. 전쟁에는 이골이 난 나라이자 달통한 민족이었다.
미국에 베트남전쟁은 '할 필요가 없었거나' '해서는 안 되는' 전쟁이었다.
1954년, 프랑스의 베트남 철수는 남동아시아에서 식민지 시대가 끝난 것으로 이해하면 그만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중국의 공산화에 예민해진 까닭에 도미노 이론(한 나라가 공산화되면 인접국들도
차례로 공산화된다는 이론)으로 사태를 해석했다.
전쟁이 길어진 이유는 공화·민주 두 정당에서 배출한 5명의 대통령이 오판(誤判)을 인정하기보다는
전쟁을 계속하는 편이 쉬웠기 때문이다. 전쟁의 목표도 방향도 없었다.
이들은 '전임자가 했으니 나도 한다'는 식으로 전쟁에 임했다.
전쟁에서 명예롭게 빠져나오는 것, 그게 전략이었다.
미국이 베트남에 처음 개입한 것은 1945년이었다. 일본군의 후방 공격을 위해 동맹군을 찾던 미국의 눈에 들어온 게
호찌민과 그의 추종자들이다. 미국 OSS(전략사무국)는 호찌민이 이끄는 오합지졸 군대에 무기를 제공했고
이들이 무기를 금세 익숙하게 다루는 것에 놀랐다. OSS가 훈련한 이들은 나중에 북베트남의 지휘관이 된다.
호찌민은 그의 군대를 '베트미국' 군대라고 불렀고 미국을 '민주주의의 챔피언'이라고 칭찬했다.
일러스트=이철원
당시 OSS의 패티 소령이 만든 보고서는 전쟁 참화를 피할 수 있는 힌트였다.
'호찌민은 무례한 공산주의자이기보다는 베트남 독립에 목숨을 건 민족주의자이다.'
실제로 베트남은 미국이 떠난 후 공산주의의 전초(前哨)기지가 되기는커녕 또다시 형 노릇을 하려는
중국의 20만 군대와 맞붙어 싸웠다. 그리고 공산주의 중국의 팽창과 남진을 막아냈다.
전선이 없었기에 땅을 차지하거나 잃는 것은 별 의미가 없었다.
성공을 가늠하는 유일한 지표는 적의 시체를 세는 것이었다.
더 많은 시체를 모으기 위해 미군은 무차별 폭격과 중화기를 남발했다.
매 전투마다 '실적'이 부진한 지휘관은 문책을 받았다.
"이 사람들은 때가 되면 우리(미군)가 자기(베트콩)들을 죽이는 데 지칠 것을 압니다.
자기들이 더 오래 버틸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육군으로 참전했던 샘 윌슨의 말이다.
베트콩과 민간인의 구별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했던 이 전쟁에서 부수적 피해는 심했다.
그 절정은 1968년의 미 라이 양민 학살이다. 500명 이상을 죽였는데 이들의 총칼을 자제시킨 건 스스로의 이성이
아니라 동료 미군의"계속하면 우리가 당신들을 쏘겠다"는 경고였다.
전쟁을 치른 병사들의 정신이 온전할 리 없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신성한 광기'라 불렀고 1차 세계대전 후에는 '폭격 충격', 2차 대전 후에는 '전투의 피로'로 불렸던
이 증세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라는 현재의 이름을 얻은 것은 베트남전쟁 이후다.
'디어 헌터' '택시 드라이버' 같은 영화가 이 후유증을 소재로 만들어졌다.
영화에나 나올 법한 특별한 경우로 생각하기 쉽지만 미국 참전 병사들의 인터뷰를 보면 자신의 관자놀이에 총구를 대고
당길까 말까 불면의 밤을 보내는 것은 보편적인 경험이었다. '람보'처럼 이 후유증을 '우익적'으로 극복하는 경우도 있지만.
우리 영화는 1992년에 나온 안성기 주연의 '하얀 전쟁'이 유일하다. 국가의 야속한 점은 전쟁을 쉽게 잊는 것이다.
그게 너무 화가 나 월남전 한국군 사령관 채명신은 여든 나이에 회고록을 썼다.
전쟁을 쉽게 잊는 나라는 역사에서도 쉽게 잊힌다.
(채명신 회고록)베트남 전쟁과 나 |
'人文,社會科學 > 人文,社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정운의 麗水漫漫] 열 받으면 무조건 지는 거다! (0) | 2018.09.05 |
---|---|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116] 타인의 명예로 예술적 유희를? (0) | 2018.09.04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53〉로벤섬의 굴욕과 용서 (0) | 2018.08.30 |
[서지문의 뉴스로 책읽기] [115] 일어서! 내 얼굴 봐! (0) | 2018.08.28 |
[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52〉그림자 사랑 (0) | 2018.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