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김동원의 이코노믹스] 성장의 단맛은 끝났다…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 행복

바람아님 2023. 12. 12. 01:11

중앙일보 2023. 12. 12. 00:41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는가

한국인 행복도, OECD 최하위권
“나는 행복” 57%, 장기적 하락

지나친 경쟁, 부의 편중 등 원인
MZ세대의 좌절감 더욱 깊어져

사회 갈등 통합할 리더십 절실
차별과 불신 분위기 걷어내야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머스 제퍼슨은 “국민의 생활과 행복을 돌보는 일은 좋은 정부의 진정한 목적이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 유엔이 발간하는 ‘세계행복보고서 2023’(World Happiness Report 2023)은 서문에서 “국가의 성공은 국민 행복도에 의해 평가돼야 하며, 국민 행복이 각국 정부 운영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라고 선언하고 있다.

행복을 기준으로 평가된 우리나라 모습은 어떨까. 올해 세계행복보고서에서 우리나라 행복 수준은 세계 57위를 기록해 2013년 41위에서 크게 추락했다. 평가점수는 2013년 6.27에서 2023년 5.94로 떨어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하위 수준에 있다.

대한민국은 저성장·양극화·고령화라는 고질적 상황을 해결하지 못하면 국민 행복이 돌이키기 어려운 악순환 흐름에 빠질 가능성에 직면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은 60년 만에 빈곤에서 벗어나 선진국으로 도약한 특별한 역동성을 가지고 있다. 수차례의 정치·경제적 위기를 국민의 합의와 단결로 극복한 경험도 있다. 더 늦기 전에 국민과 정부가 행복 증진을 위한 역동성 발현에 절박하게 나서야 한다.


https://v.daum.net/v/20231212004111101
[김동원의 이코노믹스] 성장의 단맛은 끝났다…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 행복

 

[김동원의 이코노믹스] 성장의 단맛은 끝났다…국가의 존재 이유는 국민 행복

━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는가 미국 건국의 아버지 토머스 제퍼슨은 “국민의 생활과 행복을 돌보는 일은 좋은 정부의 진정한 목적이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또 유엔이 발간하는 ‘세계행복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