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통해 세상읽기] 切磋琢磨(절차탁마) 서울경제 2019.05.31. 17:19 누구나 "꼭 그랬어야 했나" 후회할 만한 상황 마주하게 돼 인생 전반 들여다봐야 성숙한 삶 조금 안다고 우쭐 말고 내면 닦길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동양학 교수 앞과 뒤를 뜻하는 전(前)과 후(後)는 서로 짝이 돼 많은 말을 만들어낸다. 운동 경기에서 중간 휴식 시간.. 文學,藝術/고전·고미술 2019.06.01
[고전통해 세상읽기] 畵中有詩, 詩中有畵(화중유시, 시중유화) 서울경제 2018.08.17. 17:26 그림을 보면 시가 떠오르고 시를 읽으면 그림이 떠오른다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올여름 더위가 만만치 않다. 여름이 더운 것은 당연하지만 예년과 달리 40도에 가까운 날씨가 연일 계속되고 있다. 이 때문에 올해의 더위를 폭염이라고 부른다. 비가 끝도 없.. 文學,藝術/고전·고미술 2018.08.19
[고전통해 세상읽기] 上善若水<상선약수·가장 훌륭한 삶의 방식은 물과 같다> 서울경제 2018.02.02. 16:54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주위 이롭게 하지만 다투지 않고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물처럼 무한 경쟁의 현대 사회 속에서 질주의 속도 제어하는 지혜를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동양학 교수 [서울경제] 시골에 대한 인식이 바뀌고 있다. 산업화와 근대화가 진행될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8.02.04
[고전통해 세상읽기] 日新又日新<일신우일신·날이 갈수록 새로워짐> 서울경제 2018.01.19. 17:41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대학장 현실 안주하면 도태되기 쉬워 이성 발휘해 새 습관 창출 '어제보다 나은 나' 일깨워야 신정근 성균관대 유학동양학 교수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을 이성적 동물로 정의했다. 이 정의에 따르면 사람이 기본적으로 동물의 특성을 지니고 .. 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2018.02.03
[고전통해 세상읽기] 군자불우불구(君子不憂不懼) 서울경제 2017.02.24 17:09 군자는 걱정과 두려움이 없다 사람들은 평소 잊고 살지만 각자 나름의 소원이 있습니다. 소원이 뭐냐고 물으면 학창 시절 불렀던 노래처럼 남북통일을 소원으로 꼽는 사람도 있을 겁니다. 이 이외에도 공정과 정의처럼 추상적인 소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물론 선거.. 文學,藝術/고전·고미술 2017.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