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그때그일그사람

[한국사 Live] 현대기술로도 복원못하는 황룡사탑

바람아님 2016. 4. 2. 00:14
매일경제 2016.03.30. 20:04

선덕여왕 5년 중국으로 유학갔던 자장법사가 태화지(太和池)를 지나가는데 신인이 나타나 다음과 같이 이른다. "그대 나라는 여자가 왕위에 있으니 위엄이 없구나. 황룡사의 호법룡은 나의 맏아들이니 고국에 돌아가 절 안에 9층탑을 세워라. 그러면 9한(韓)이 조공하고 왕업은 길이 편안할 것이니라."

그러나 당시 신라에는 그만한 기술을 갖고 있지 않았다. 보물과 비단을 가지고 백제로 가서 도움을 청했고 명인 아비지(阿非知)가 백제왕의 명을 받고 왔다. 아비지는 처음 기둥을 세우는 날 백제가 멸망하는 꿈을 꾸고선 놀라 공사를 중단했다. 그러자 갑자기 대지가 진동하면서 깜깜해지더니 어둠 속에서 노승 한 명과 장사 한 명이 금전문(金殿門)에서 나와 기둥을 세우고 사라졌다. 일연이 지은 삼국유사 제3권 탑상편에 나오는 대목이다.


▲ 황룡사 조감도. 황룡사 중앙부에 9층 탑이 우뚝 솟아있다. <사진 제공=국립문화재연구소>
▲ 황룡사 조감도. 황룡사 중앙부에 9층 탑이 우뚝 솟아있다. <사진 제공=국립문화재연구소>

황룡사 9층탑은 현존하지는 않지만 '호국불교의 상징'이자 '한국 고대 건축의 최고봉 '으로 우리 가슴 속에 깊이 새겨져 있다. 고려 중기 문인 김극기가 "(탑위에서) 동도(東都)를 내려다보니 집들이 벌집처럼 아련하다"고 읊을 만큼 탑은 하늘을 찔렀다.

홀로 우뚝 솟아 있다보니 벼락피해가 유난히 많았다. 선덕여왕 19년(645년)에 탑이 처음으로 완성된 뒤로 신라와 고려에 걸쳐 무려 다섯 번이나 벼락을 맞았다. 탑은 성덕왕 19년(720년), 경문왕 12년(872년), 고려 현종 13년(1021년) 등 세 차례 다시 지어졌다. 그러다가 고종 25년(1238년) 몽골군에 의해 탑과 대불(大佛)인 장육존상, 절의 전각들이 잿더미로 변했다.


이 황룡사탑을 복원하는 작업이 2000년 착수돼 올해로 13년째를 이어오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가 중심이 된 복원팀이 애초 탑의 원형으로 삼은 것은 경문왕대에 중건된 탑이다. 금동사리외함에 새겨진 이때의 찰주본기가 유일하게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찰주본기에는 중수사실 등이 적혀있다.


그렇지만 탑구조를 유추할 수 있는 문헌이 없다. 찰주본기에도 그런 내용은 없다. 경주 남산 탑골 마애조상군에 새겨진 9층탑이 황룡사탑일 것으로 거론되지만 개략적인 겉모양일 뿐이다. 속 구조는 알 방법이 없다. 안압지, 월성해자에서 공포부재 등 당시 건축기법을 짐작할 수 있는 유물이 다수 출토됐다지만, 그야말로 참고용에 불과하다. 물론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중국과 일본의 탑도 연구가 됐다. 현존하는 탑중 황룡사탑과 흡사한 것은 중국 불궁사 석가탑(1056년 건립)과 7세경 백제가 지어줬다는 일본 법륭사 오중탑(五重塔)을 들 수 있다.

불궁사 탑은 각층이 비어있어 불상을 모셔놓고 사람이 출입도 가능한 반면 오중탑은 내부가 막혀 있는 구조다. 삼국유사에 "9층탑을 세운다면 이웃의 침략을 진압할 수 있는데 1층은 일본, 2층은 중화, 3층은 오월, 4층은 탁라(托羅), 5층은 응유(鷹遊), 6층은 말갈, 7층은 단국(丹國), 8층은 여적(女狄), 9층은 예맥"이라고 쓰여진 것으로 미뤄 황룡사탑은 불궁사탑처럼 내부가 뚫려있으며 층별로 호국을 기원하는 불상이 따로 모셔졌을 것으로 판단된다.


불궁사 방식은 하지만 강풍에 매우 취약하다. 지난해 충북 괴산 왕소나무(천연기념물 제290호)를 무너뜨린 볼라벤급 태풍만 올라와도 견뎌내기 힘들다. 복원팀 내부에서는 와이어 등 철재로 보강하는 대안도 검토했으나, 애초의 황룡사탑을 되살린다는 취지에 맞지 않아 논의를 더 이상 진행시키지 않았다고 한다.


높이 문제도 해결하지 못했다. 삼국유사에는 그 높이가 225자라고 적고있다. 고구려척(尺)이 쓰였다는 의견과 함께 당척(唐尺)이 보편적이라는 견해도 제기된다. 고구려척(35.6㎝)을 적용하면 80m, 당척일땐 67m가 된다. 어떤 척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무려 17m나 차이가 발생한다. 구조적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맨아래층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야 하는데 1층과 2층의 면적을 동일하게 해야 하는지를 두고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아비지는 대체 어떤 방법으로 탑을 만들었던 것일까. 복원팀은 아직도 그 수수께끼를 풀지 못하고 있다. 결국 복원팀은 사찰 정문인 중문과 그 담장 일부만 되살리는 것을 전제로 황룡사 정비 실시설계를 수립하고 있다. 사실상 황룡사탑 복원을 포기한 것이다. 배병선 전 국립문화재연구소 건축문화재연구실장도 "학술대회 등을 통해 수없는 토의를 거쳤지만, 현 단계에서는 탑 복원이 힘들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고 했다. 아비지의 혼이 서린 황룡사탑을 언제쯤 볼 수 있을 것인가.


[배한철 문화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