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의 흔적에 산책의 즐거움을 더하다
대한제국 선포에 앞서 한성부를 찬란한 근대도시로 탈바꿈시키려 했던 고종은 야심 차게 두 가지 도시정비사업을 계획한다. 경운궁을 중심으로 방사상 도로체계를 구축하는 것(지금의 서울시청 앞 교차로)과 만보객이 즐길 만한 단란한 도심 공원(탑골공원)을 만드는 일이었다. 고종은 교차로와 공원, 이 두 요소야말로 근대 생활의 완벽한 표상이라 여겼다. 공원은 그렇게 처음 우리 도시의 품 안으로 생경하게 들어왔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독재정권을 거치면서 공원은 기형적으로 도구화되고야 만다. 공원이라는 알량한 명분과 이름하에 전통문화유산과 성역은 처참히 유린당했고, 때때로 공원은 애국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위한 훈육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2002년 우리 곁을 찾은 선유도공원은 과거의 이 같은 기형적 생성과 변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차원의 시민공원이다. 수돗물을 공급하던 정수장으로 23년 동안 물속에 잠겨 있던 공간과 기억들이 조경가 정영선과 건축가 조성룡의 손에 건져져 새 생명을 얻은 것이다. 선유도공원은 쓸모를 다한 산업유산을 보전·활용했다는 역사성과 파괴된 도심생태계를 복원했다는 자연친화성, 그리고 한강 중간에 떠 있다는 드라마틱한 장소성까지 좀처럼 이루기 힘든 3박자를 고루 갖춘 셈이다. 그러니 흥행은 따로 말할 것도 없다. 2005년에는 주말 하루 평균 이용자가 4만 명이 넘는 통에 공원 보호 차원에서 부득이 입장정원제를 실시해 입장객을 하루 8700명(동시간대 최대 1000명)으로 제한해야 했다. 축적된 시간의 농밀한 흔적들 사이로 건축적 산책의 즐거움이 더해진 선유도공원은 문화적 공원을 갈망하던 대중을 촉발시켰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한 꿈마루. 나상진이 1968년 설계한하지만 아무리 그렇다 하더라도 이처럼 하나의 공원에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몰리는 현상은 역으로 공원이라는 일상적 장소에 대한 우리의 이해와 경험의 부재를 입증하는 것이다. 2005년 초여름 선유도공원에서 만난 건축가 조성룡과 정기용은 “이곳을 테마공원이나 유원지쯤으로 여기며 분주하게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사람들을 이해할 수 없다”며 한곳에 머물러 주변과 스스로를 돌아볼 뿐이라는 공원에 대한 생각을 밝히기도 했다. 공원이란 특정한 목적을 갖고 무언가를 둘러봐야 한다는 강박으로 오는 곳이 아니라는 말이다.
사실 선유도공원 같은 산업유산의 변용은 앞서 산업시대의 부흥과 쇠락을 경험했던 영국 독일 등지에서 먼저 일어났다. 화력발전소였던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주물제조공장이었던 르 마가쟁 국립현대미술관, 철강제련소였던 티센 랜드스케이프 공원 등이 산업시설의 중요한 변용 사례다.
선유도공원은 바로 이 낡은 것에 대한 재생, 산업유산에 대한 문화적 계승이라는 건축의 시대적 패러다임을 일반 대중에게 선보인 첫 국내 작품인 것이다. 최근 당인리발전소, KT&G 대구 연초제조창의 활용을 고민하는 것도 아닌 말로 모두 선유도공원의 성공 덕이다. 선유도공원의 경험이 없었더라면 어린이대공원 관리사무소를 리모델링한 꿈마루 역시 정말 꿈에 불과했을지 모른다.
선유도공원은 이번 조사에서 거장 김수근의 대표작 경동교회를 누르고 3위를 차지하며 한국 현대건축사에서 그 공적을 다시금 인정받았다. 특히 최고의 현대건축 20선 가운데 개별 건축물이 아닌 장소적 특성을 띤 것은 선유도공원이 유일하다. 그래서 선유도공원의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런 역사적 성과를 두고 조경계에서는 아직도 그것이 건축인지 조경인지, 내 것인지 네 것인지를 따지며 선유도공원의 상징성과 역사성을 그들만의 것으로 점유하려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선유도공원의 진정성은 산업과 문화, 인공과 자연, 과거와 현재 사이의 두터웠던 경계를 넘나들며 통합해가는 장소성의 구축과 재생이 아니었던가? 고종이 탑골공원을 통해 근대도시의 이상을 꿈꾸었던 것처럼 이제 우리는 선유도공원을 통해 통섭과 융합이라는 이 시대 건축과 도시의 미래상을 그려가야 하는 것이다.
박성진 ‘SPACE’ 편집팀장
23년간 수돗물을 공급해온 정수장 시설을 조경 전문가 정영선과 건축가 조성룡이
협업해 친근한 선유도공원으로 바꿔놓았다. 선정 작업에 참여한 정다영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는 “오랜 산업 시설을 재활용하고 그 흔적을 가감 없이 드러냄으로써 현대적인
문화유산으로 만들어냈다”고 평가했다. 박성진 ‘SPACE’ 편집팀장 제공
《 건축가 조성룡(69·사진)은 동아일보와 월간 ‘SPACE’가 건축 전문가 100명을 대상으로 한 ‘한국 최고의 현대건축’ 설문조사에서 상위 20위권에 가장 많이 이름을 올린 이다. 서울 영등포구 양화동 선유도공원(2002년, 정영선+조성룡)이 3위, 광진구 능동 어린이대공원 내 꿈마루(2011년, 조성룡+최춘웅)가 14위, 광주 동구 운림동 의재미술관(2001년, 조성룡+김종규)이 17위를 기록했다. 이 중 선유도공원은 정수장 시설물을, 꿈마루는 1세대 건축가 나상진의 클럽하우스 건물을 방문자센터로 리모델링한 것이다. 옛것을 새롭게 다듬어낸 선유도공원 리뷰를 통해 건축에서 기억 혹은 시간에 대한 존중의 가치를 새겨본다. 》
대한제국 선포에 앞서 한성부를 찬란한 근대도시로 탈바꿈시키려 했던 고종은 야심 차게 두 가지 도시정비사업을 계획한다. 경운궁을 중심으로 방사상 도로체계를 구축하는 것(지금의 서울시청 앞 교차로)과 만보객이 즐길 만한 단란한 도심 공원(탑골공원)을 만드는 일이었다. 고종은 교차로와 공원, 이 두 요소야말로 근대 생활의 완벽한 표상이라 여겼다. 공원은 그렇게 처음 우리 도시의 품 안으로 생경하게 들어왔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광복 후 독재정권을 거치면서 공원은 기형적으로 도구화되고야 만다. 공원이라는 알량한 명분과 이름하에 전통문화유산과 성역은 처참히 유린당했고, 때때로 공원은 애국과 반공 이데올로기를 위한 훈육의 장으로 변질되었다.
2002년 우리 곁을 찾은 선유도공원은 과거의 이 같은 기형적 생성과 변이를 뛰어넘는 새로운 차원의 시민공원이다. 수돗물을 공급하던 정수장으로 23년 동안 물속에 잠겨 있던 공간과 기억들이 조경가 정영선과 건축가 조성룡의 손에 건져져 새 생명을 얻은 것이다. 선유도공원은 쓸모를 다한 산업유산을 보전·활용했다는 역사성과 파괴된 도심생태계를 복원했다는 자연친화성, 그리고 한강 중간에 떠 있다는 드라마틱한 장소성까지 좀처럼 이루기 힘든 3박자를 고루 갖춘 셈이다. 그러니 흥행은 따로 말할 것도 없다. 2005년에는 주말 하루 평균 이용자가 4만 명이 넘는 통에 공원 보호 차원에서 부득이 입장정원제를 실시해 입장객을 하루 8700명(동시간대 최대 1000명)으로 제한해야 했다. 축적된 시간의 농밀한 흔적들 사이로 건축적 산책의 즐거움이 더해진 선유도공원은 문화적 공원을 갈망하던 대중을 촉발시켰다.
서울 어린이대공원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한 꿈마루. 나상진이 1968년 설계한
클럽하우스를 부분 개조한 작품이다. 김재경 씨 제공
사실 선유도공원 같은 산업유산의 변용은 앞서 산업시대의 부흥과 쇠락을 경험했던 영국 독일 등지에서 먼저 일어났다. 화력발전소였던 영국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주물제조공장이었던 르 마가쟁 국립현대미술관, 철강제련소였던 티센 랜드스케이프 공원 등이 산업시설의 중요한 변용 사례다.
선유도공원은 바로 이 낡은 것에 대한 재생, 산업유산에 대한 문화적 계승이라는 건축의 시대적 패러다임을 일반 대중에게 선보인 첫 국내 작품인 것이다. 최근 당인리발전소, KT&G 대구 연초제조창의 활용을 고민하는 것도 아닌 말로 모두 선유도공원의 성공 덕이다. 선유도공원의 경험이 없었더라면 어린이대공원 관리사무소를 리모델링한 꿈마루 역시 정말 꿈에 불과했을지 모른다.
선유도공원은 이번 조사에서 거장 김수근의 대표작 경동교회를 누르고 3위를 차지하며 한국 현대건축사에서 그 공적을 다시금 인정받았다. 특히 최고의 현대건축 20선 가운데 개별 건축물이 아닌 장소적 특성을 띤 것은 선유도공원이 유일하다. 그래서 선유도공원의 의미는 더욱 각별하다. 하지만 아쉽게도 이런 역사적 성과를 두고 조경계에서는 아직도 그것이 건축인지 조경인지, 내 것인지 네 것인지를 따지며 선유도공원의 상징성과 역사성을 그들만의 것으로 점유하려는 목소리가 들려온다. 선유도공원의 진정성은 산업과 문화, 인공과 자연, 과거와 현재 사이의 두터웠던 경계를 넘나들며 통합해가는 장소성의 구축과 재생이 아니었던가? 고종이 탑골공원을 통해 근대도시의 이상을 꿈꾸었던 것처럼 이제 우리는 선유도공원을 통해 통섭과 융합이라는 이 시대 건축과 도시의 미래상을 그려가야 하는 것이다.
박성진 ‘SPACE’ 편집팀장
'文學,藝術 > 디자인·건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현대건축]<4> 세계적 명성 건축가들, 한국에만 오면 명작 아닌 졸작 (0) | 2014.09.11 |
---|---|
세계에서 가장 값비싼 집은? (0) | 2014.09.10 |
[한국의 현대건축]<2> 최악 1위 서울시 신청사 (0) | 2014.09.08 |
[한국의 현대건축]<1>1세대 거장 김중업-김수근의 대표작 (0) | 2014.09.07 |
정경원의 디자인 노트 [78] '다이아그리드' 공법으로 빚은 명품 건물 (0) | 2014.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