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62] 미세먼지와 마스크 조선일보 2018.03.13. 03:1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봄이 되어 날이 따뜻해지니 겨우내 움츠렸던 어깨가 펴지며 나도 모르게 심호흡을 하려 한다. 그러다 이내 화들짝 놀라며 짧은 숨을 몰아쉰다. 요즘 이 땅에 사는 누가 감히 미세먼지를 양껏 들이켜는 객기를 부린단 말인가?..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3.14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61] 흰개미는 바퀴벌레다 조선일보 2018.03.06. 03:12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우리나라 사찰의 배흘림기둥을 수수깡으로 만들고 있는 흰개미가 결국 바퀴벌레로 판명됐다. 흰개미가 그저 흰색 개미인 줄 알았던 사람들은 이 무슨 황당한 얘기인가 싶겠지만, 흰개미는 우선 개미가 아니다. 전통적 사회..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3.07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60] 다양성과 선진국 조선일보 2018.02.27. 03:12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유치에서 준비까지 파란곡절의 연속이었던 평창 겨울올림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올림픽을 관통하는 키워드를 하나 꼽으라면 나는 서슴없이 '다양성'이라고 말하련다. 쇼트트랙과 스피드 스케이팅은 여전히 흥..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2.28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59] 평창과 닭고기 조선일보 2018.02.20. 03:12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평창 겨울 올림픽의 최고 승자는 누구일까? 남자 빙속 5000m와 스노보드에서 각각 개인 통산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건 스벤 크라머르와 숀 화이트일까? 압도적인 실력으로 스켈레톤을 석권한 윤성빈 선수일까? 아니, 진짜 승..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2.21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58] 폭탄먼지벌레 조선일보 2018.02.13. 03:1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일명 '방귀벌레'라 불리는 딱정벌레가 있다. 정식 명칭은 '폭탄먼지벌레(bombardier beetle)'인데 잘못 건드리면 항문에서 피식 소리를 내며 매캐한 독가스를 내뿜는다. 냄새가 역겨운 건 둘째치고 엄청나게 뜨겁다. 펄펄 끓는 물..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2.14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57] 정현과 애시 조선일보 2018.02.06. 03:1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우리 정현 선수가 호주오픈에서 4강까지 오르며 신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해외 언론은 페더러, 나달, 조코비치 트리오가 독점적으로 군림했던 시대가 저물며 새롭게 떠오를 강자로 정현을 꼽는 데 머뭇거리지 않는다. 테니..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2.07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55] 사라지는 추억의 名所 조선일보 2018.01.23. 03:12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15년 이상 이화(梨花)인의 사랑을 받아온 '이화사랑'이 결국 문을 닫았다. 교수인 나야 그저 가끔씩 들러 참치 김밥 한 줄 사 들고 나오는 게 고작이었지만 학생들에게는 '군내 나는' 아지트였는데 영원히 사라져버리니 왠지 ..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1.25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52] 중국의 축지술(縮地術) 조선일보 2018.01.02. 03:1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중국이 두렵다. 덕담을 해도 시원치 않을 마당에 우울한 얘기로 새해를 열려니 마음이 많이 무겁다. 지난해 우리는 중국의 결코 대국답지 않은 몽니에 홍역을 치렀다. 우리 대통령이 국빈 방문을 하고 나서도 중국 지자체들.. 其他/최재천의자연 2018.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