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32] 세계 왼손잡이의 날 조선일보 2017.08.15. 03:12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지난주 제인 구달 박사님 방한 중에 생명다양성재단이 마련한 '자연: 다양한 자아 실현의 장'이라는 이름의 릴레이 토크에서 배우 박중훈씨는 이 땅에서 왼손잡이로 살아온 애환을 구구절절 털어놓았다. 고교 시절 데생을 ..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8.16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31] 기업의 다양성 공헌 조선일보 : 2017.08.08 03:13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 자연의 가장 큰 특징이 뭘까? 나는 다양성이라고 생각한다. 심하게 훼손된 후 회복되는 생태계에는 기회주의적 생물이 활개치는 경우가 종종 있지만, 자연에는 늘 다양한 생물이 한데 어울려 산다. 다윈은 '종의 기원' 제6판..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8.11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8] '제돌절' 선언 조선일보 2017.07.18. 03:13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어제는 7월 17일 제헌절이었다. 오늘은 뜻을 같이하는 몇몇 지인들과 함께 내가 특별히 따로 기리는 기념일이다. 이름하여 '제돌절'이다. 4년 전 오늘 우리는 제주 김녕 앞바다에 제돌이와 춘삼이를 방류했다. 가두리에서 함께..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7.20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6] 반달가슴곰의 여로 조선일보 2017.07.04. 03:15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국립공원관리공단이 2015년 지리산에 방사한 반달가슴곰 한 마리가 경북 김천 수도산에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15㎞ 떨어진 경남 함양까지 이동한 게 고작이었는데 이번에는 직선거리로만 무려 80㎞를 이동한 셈이다. 게다가 ..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7.05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5] 일찌감치 조선일보 2017.06.27. 03:11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98세에도 매일 글을 쓰고 일주일에 서너 번씩 강의를 하며 사시는 철학자 김형석 교수님이 들려주신 얘기다. 1970~80년대 함께 '철학계 삼총사'로 불린 고(故) 김태길·안병욱 교수님께 "우리 이제 살 날도 그리 많이 남지 않았..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6.28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3] 삶의 흔적 조선일보 2017.06.13. 03:15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법방해 혐의에 관한 제임스 코미 전 미국 연방수사국(FBI) 국장의 의회 증언을 보며 떠오른 단어가 하나 있었다. 바로 '신뢰'였다. 거듭되는 불편한 상황에서 그는 대통령이 나중에 말을 바꾸거..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6.14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2] 개발 문화에서 생태 문화로 조선일보 2017.06.06. 03:04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대놓고 개발 일변도 정책을 폈던 이명박 정부와 달리 박근혜 정부는 비교적 참신하게 출범했다. 2013년 4월 4일 박근혜 전 대통령은 환경부와 국토교통부의 업무 보고를 함께 받으며 더 이상 경제냐 환경이냐 다투지 말고 동반..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6.10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421] K-Corps(케이 코어) 조선일보 2017.05.30. 03:15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사회생물학나는 1963년 11월 23일 새벽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날 따라 여느 날보다 훨씬 일찍 눈을 뜬 나는 현관에서 조간신문을 집어 들고 꺼이꺼이 대성통곡을 했다. 신문 가득 케네디 대통령의 암살 소식이 실려 있었다. 갑작스러운 .. 其他/최재천의자연 20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