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時流談論

[열린세상] 역사 속의 공신들/한순구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

바람아님 2014. 12. 13. 10:35

후한(後漢)을 세운 광무제(光武帝)에게는 호양 공주라는 동생이 있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 호양 공주가 아끼는 노비 한 명이 공주의 권세를 믿고 살인을 하고서는 공주의 저택에 숨어서 지냈다. 당시 낙양성의 치안을 담당했던 동선(董宣)이라는 관리가 이 노비를 처벌하기 위해서 공주의 대문 앞에서 잠복하고 있다가 공주가 외출할 때 따라 나오는 노비를 붙잡아서 그 자리에서 처형했다. 자신의 눈앞에서 아끼는 노비가 죽음을 당하자 호양 공주는 오빠인 광무제에게 동선이라는 관리에게 벌을 주라고 주청했다. 이에 광무제가 동선을 불러 공주에게 사과하라고 하자 동선은 자신은 사과하지 못하겠고 차라리 죽겠다며 버텼다.

이런 광경을 본 호양 공주는 “당초에 오빠가 황제가 아니었을 때에는 집에다 죄 지은 사람을 숨겨 주어도 관가에서 잡아가지 못했는데 오히려 황제가 되고 나니 오빠의 힘이 줄어든 것 같다”며 짜증을 부렸다고 한다. 그러자 광무제는 웃으면서 “황제가 됐으니 일반 백성 때와 같이 행동할 수 없는 것이 아니겠냐?”고 말하면서 고집쟁이 관리인 동선을 풀어 주고 오히려 상을 주었다고 한다. 오랜 중국의 역사 속에서도 후한의 광무제가 공신들을 가장 잘 관리한 군주로 뽑힌다고 한다. 광무제는 자신을 도와서 후한을 세운 공신들에게 많은 상을 내리고 명예를 주었지만 건국 이후 국정에서는 손을 떼도록 한 것으로 유명한 황제다. 하지만 공신은 아니지만 친인척이었던 호양 공주의 예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공신이나 친인척 문제에 대한 광무제의 고심은 역사책에서 언급되고 있는 것보다는 깊었던 것 같다.

광무제가 공명정대함만을 강조하는 황제였다면 살인을 저지른 자신의 노비를 감싸려는 호양 공주를 호되게 혼내고 말았을 것이다. 하지만 광무제는 정직한 관리인 동선을 불러서 호양 공주에게 사과를 하라고 명령하는 일종의 연극을 벌인 것이 아닐까 싶다. 어쨌든 황제로서는 자신의 친인척에 대한 예의를 갖추면서도 결국은 정직한 관리를 풀어 줌으로써 친인척도 달래고 국정의 기강도 바로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런 광무제의 고사가 새삼 생각나는 것은 역시 최근 청와대를 둘러싸고 벌어지고 있는 어지러운 뉴스들 때문일 것이다.

광무제의 선조인 한고조 유방을 도와서 중국을 통일한 후 벼슬을 마다하고 초야로 돌아간 장량과 같은 공신들만 있다면 황제 노릇하기가 정말로 쉽겠지만, 현실에서는 기대하기 어려운 일일 것이다. 나름 목숨을 걸고 싸워서 정권을 잡은 공신들은 예나 지금이나 그 보상을 바라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현실에서는 권한과 자리는 제한돼 있으니 만족할 만한 포상을 받았다고 생각하는 공신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한고조 유방의 경우도 흡족한 포상을 받지 못한 공신들의 불만을 가라앉히기 위해 공신이지만 평소 자신이 가장 미워했던 옹치에게 큰 상을 내렸다고 하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황제가 미워하는 옹치도 상을 받았으니 나도 상을 받게 될 것이라고 공신들이 믿고 기다리게 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이렇듯 공신들의 관리가 어려운 것은 과거의 황제나 현재의 집권자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런데 또 한 가지 과거나 현재나 똑같은 사실은 공신들 간의 다툼이 일어나면 그 권력은 곧 멸망한다는 사실이다. 정권을 획득하기 전까지 열심히 노력해 준 공신들은 능력 있는 인물들이겠지만, 정권을 획득하는 능력과 정권을 유지하는 능력은 분명히 다른 종류의 것이다. 그래서 역사상 공신들이 지나친 권력을 휘두른 경우 문제가 발생한 상황이 많았다. 따라서 공신들은 개인적인 욕심을 버리고 어느 정도 물러서야 한다는 논리가 설득력이 있다.

물론 일반 국민으로서는 한 정권이 물러나면 다른 정권이 들어오는 것이 섭리이지만, 내부의 문제로 제대로 된 정치가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그 폐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가게 된다는 점에서 공신들과 관련된 문제를 마냥 남의 일인 것처럼 생각할 수는 없는 것이다. 과거의 왕정 시대와 달리 현대 국가의 최고 권력자는 국민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공신들의 문제에 대한 답은 훨씬 쉽게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