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時流談論

[서소문 포럼] 영혼 없는 대학은 망하게 놔둬라

바람아님 2016. 4. 19. 00:39
중앙일보 2016.04.18. 00:09

빌 게이츠에게 응용수학을 가르쳤던 미국 하버드대 해리 루이스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인터뷰한 적이 있다. 『하버드가 잃어버린 교육, 대학 교육의 미래는』의 저자인 그는 “대학은 학생의 장래성을 키워주는 곳이다. 학교와 교수가 그걸 못해 주면 존재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그렇다면 게이츠는 왜 하버드대를 중퇴했을까. 루이스 교수에게 물었더니 “명석하고 독창적인 학생이었는데 (우리가) 잠재력을 파악하는 데 실패했다. 그래서 떠났다”며 자성했다. 그리고 하버드가 잃어버린 것은 영혼, 바로 학생 교육에 대한 고민이라고 강조했다

양영유 논설위원
양영유 논설위원

그의 말처럼 세계 최고의 하버드대도 고민을 안고 산다. 특히 공학 분야에서 스탠퍼드대에 밀리자 교육 시스템을 재설계하는 등 비상이다. 하버드대뿐만이 아니다. 세계 고등교육계에 ‘파괴적 혁신’ 바람이 거세다. 아이비리그 수준의 강의를 반값에 공부할 수 있는 미국 온라인 대학 미네르바 스쿨이 하버드대보다 더 입학하기 어렵고, 세계 명문대 강좌를 무료로 수강하는 무크(MOOC)의 확산으로 강의실 국경도 무너지고 있다. 21세기 문명사적 대전환을 맞아 고등교육의 패러다임이 요동치는 것이다.


세계의 대학들은 천리마처럼 달리는데 우리는 어떨까. 한마디로 우보(牛步)다. 저출산에 따른 ‘학생 절벽’ 앞에서도 셀프 혁신에 굼뜨다. 올해 59만 명인 고교 입학생이 내년엔 52만 명, 내후년엔 46만 명으로 줄어든다. 이건 뭘 의미하는가. 현재 대입 정원이 53만 명인데 5년 뒤 46만 명 중 80%(37만 명)가 대학에 가더라도 80곳(정원 2000명 기준)은 문을 닫아야 할 판 아닌가. 그런데도 정신을 못 차린다. 


교육부가 재정을 미끼로 구조조정을 압박하니까 억지로 시늉만 낸다. 이달 말 지원 대상 19곳을 뽑는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대학(프라임) 사업’이 그 하이라이트다. 대학 한 곳에 연간 최대 300억원 등 3년간 6000억원을 대주는 초대형 사업이다. 대학들은 자존심도 팽개치고 군침을 흘린다. 신청 대학 70곳 중엔 교명까지 바꾼 곳도 있고, 공대를 강화한다며 정체불명의 전공을 만들기도 했다. 그러곤 점수를 잘 받으려 줄 대기에 혈안이다. 교육부의 위세가 어떻겠는가.


사실 경마 레이스 같은 재정사업은 교육부엔 꽃놀이패, 대학엔 연명 수단도 된다. 구조개혁평가에서 D등급을 받은 부실 대학 53곳 중 19곳이 특성화 사업 등에 뽑힌 게 그렇다. 숨통을 끊어야 할 곳에 산소호흡기를 달아준 꼴이다. 박근혜 대통령도 “연명 수단이 안 되도록 하라”고 지시했는데 교육부의 배짱이 놀라울 뿐이다.


대학은 집단 지성의 집합소다. 자율성과 다양성, 자존감이 작동돼야 인위적 간섭에 휘둘리지 않는다. 그런데 ‘샤워실의 바보’가 돼 버렸다. 교육부가 ‘차가운 물(대학 설립 준칙주의)’을 틀자 우후죽순 설립하더니, ‘뜨거운 물(정원 감축)’로 급변침해도 말을 못한다. 학생 추계를 엉터리로 한 교육부에 근본 책임이 있지만, 대학의 자업자득이기도 하다. 결국 교육부와 대학이 공진화(coevolution)하지 않으면 절대 고등교육 생태계는 바뀌지 않는다. 파괴적 혁신이 필요한 이유다.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첫째, 대학이 망하든 말든 그대로 놔두자. 스스로 학생 절벽을 넘으면 살 것이요, 그렇지 못하면 죽을 것이다. 교육부가 수도꼭지를 갖고 장난치지 말라는 얘기다. 다만 국립대에 한해 원 포인트 개입을 허(許)하자. 전국 41개 대학을 단계적으로 통합해 ‘1도(道) 1국립대’로 만드는 일이다. 교육대를 거점대에 통합하고, 캠퍼스별로 전공을 특화하면 가능한 일 아닌가. 


둘째, 대학별 정원·전공 자율조정 시스템을 가동하자. 기준은 인문사회 25명, 공학 20명 등 전임교원 1인당 학생 수다. 학생 확보를 못하면 지체 없이 폐과·폐교하라. 학생이 없는데 무슨 수로 교수 월급을 주려는가. 


셋째, 선택과 집중이다. 정부의 고등교육 투자는 국내총생산(GDP)의 0.7%에 불과하다. 언제까지 수도권·비수도권·권역별로 나눠줄 작정인가. 세금만 축낼 뿐 결코 글로벌 대학을 키울 수 없다.

중요한 게 하나 더 있다. 교육부와 대학이 잃어버린 영혼을 찾는 일이다. 누구 때문에, 왜 존재하는가.


앙영유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