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책·BOOK

힘과 도덕 다 갖춰야 '나라다운 나라' 된다

바람아님 2018. 1. 30. 10:07

(조선일보 2018.01.30 이선민 선임기자)

'국가의 철학' 펴낸 윤평중 교수

마키아벨리와 안중근 재해석
"남북 간 '국가이성' 통합 불가능… 북핵 위협 시대, 민족보다는 국가"


"우리 국민은 군사독재와 권위주의 기억 때문에 국가에 대해 피해의식이 있다.

하지만 개인과 공동체의 존립과 발전을 위해 국가는 여전히 중요하다.

부정적 유산은 덜어내야 하지만 목욕물과 함께 아이까지 버리는 어리석음을 범해서는 안 된다."


정치철학자이자 칼럼니스트인 윤평중(62) 한신대 교수가 국가의 본질과 현재적 의미를 따지는 '국가의 철학'(세창출판사)을 펴냈다. 국가에 대한 이론적·역사적 논의와 함께 한국 사회, 한·일, 한·중 관계, 남북한 문제 등 우리가 당면한 중요 과제를 짚고 있다.

윤평중 교수는“국가 수호를 평화원리주의에 종속시킨 지도자들이 불러들인 재앙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항상 민중이었다”고 말했다.


윤평중 교수는“국가 수호를 평화원리주의에 종속시킨 지도자들이 불러들인 재앙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항상 민중이었다”고 말했다.
윤평중 교수는“국가 수호를 평화원리주의에 종속시킨 지도자들이 불러들인 재앙의

가장 큰 피해자는 항상 민중이었다”고 말했다. /이진한 기자


윤평중 교수는 '나라다운 나라'의 이념적 토대 구축을 '국가이성'이라는 오래된 개념의 재구성에서 시작한다.

국권이 민권을 억압하는 도구로 여겨져 온 '국가이성'의 의미를 새롭게 정의하기 위해 그는 마키아벨리를 재해석한다.

권모술수의 주창자로 오해받는 마키아벨리가 사실은 국가가 폭력과 정의의 양 측면을 갖고 있는 사실을 간파하고

법치주의·시민의식·애국심에 기반한 공화정을 통해 바람직한 정치공동체를 만들려고 했다는 것이다.

권력과 도덕, 현실과 이상, 국권(國權)과 민권(民權)을 조화시키는 '변증법적 국가이성'이 윤 교수가 제시하는

21세기 국가상이다. 그는 "국권을 강조한 산업혁명, 민권을 중시한 민주혁명에 이어 국권과 민권을 통합한

공화혁명의 출발점에 서 있는 대한민국은 변증법적 국가이성의 길을 따라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동아시아에서 '변증법적 국가이성'의 모델이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이라고 본다.

국가지상주의에 입각해 이웃 나라들을 지배하려 한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와 달리 안중근은 한·중·일 상호 인정과

호혜 평등으로 번영하는 동아시아를 꿈꾸었다. 오늘날 일본은 아직도 메이지 시대의 패권주의적 국가이성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중국은 전근대적인 중화중심주의적 국가이성이 범람하고 국권 앞에 민권이 질식 상태다. 윤 교수는

"일본과 중국에서도 관심이 높아지는 안중근의 동양평화론은 삼국 관계를 재정립할 시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한 문제는 '변증법적 국가이성'의 관점에서 조명할 때 명암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부분이다.

남한이 국가이성의 발전 과정을 착실히 밟아온 것과 달리 북한은 국가이성을 김일성 일가(一家)가 사유화함으로써

공공성이 무너졌고 반(反)국가적, 반인민적 유일 지배체제가 성립됐다.

자신을 남북한 사이의 '경계인'으로 규정한 철학자 송두율의 지적 실험은 이런 북한 현실에 눈감음으로써 파산했다.

윤 교수는 "북한의 수령 중심 국가이성과 남한의 변증법적 국가이성의 통합은 불가능하다"며 "더구나 북한이 핵무기로

대한민국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선 민족보다 국가를 앞세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나라다운 나라'는 외침이나 내란에 의해 흔들리는 허약한 국가로는 만들 수 없다고 이 책은 강조한다.

위기에 처한 국가를 지키는 지혜는 로마에서 배울 수 있다. 강력한 시민군이 번영의 물리적 기초가 됐던 것이다.

반면 아테네는 포퓰리즘에 빠져 군사적 판단을 그르쳐 스스로를 지키는 데 실패했다. 윤 교수는

"힘과 도덕이 결합돼야 제대로 된 국가"라며 "시민들의 나라인 공화정은 시민들이 단호하게 수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의 철학' 2016년 출간된 '시장의 철학'에 이어 윤 교수가 구상하고 있는 정치철학 3부작의 두 번째 저서.

윤평중 교수는 "정년까지 '시민사회의 철학'을 저술해 현대 사회구성체의 세 요소를 철학적으로 구명하는 작업을

매듭짓고 싶다"고 말했다.                 

                                        




시장의 철학
윤평중 지음/ 나남/ 2015년/ 372쪽
320.01-ㅇ645ㅅ/ [정독]인사자실(2동2층)


현재의 대한민국은 세계 10대 경제강국 가까이 갔다는 통계적 지표와 불안, 불신으로 가득한

민심이 날카롭게 엇갈림으로써 사회적 긴장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이런 문제에

대한 답을 ‘시장’에서 찾는다. 저자는 시장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자유시장의 본질에 대한

탐구에서 시작해 상업과 시민정신 사이의 연계, 공정성과 공공성, 시장 확대를 통한

북한개혁론과 통일론 등의 주제로까지 확대한다. 궁극적으로 시장의 철학은 가능한 한 넓고

깊게 이해된 ‘시장’을 화두로 삼아 오늘날 한국 사회의 치유법을 찾는 인문학적ㆍ사회과학적

과정이다.
         


 석학人文강좌 -84
국가의 철학 : 한반도 현대사의 철학적 성찰
윤평중 저 | 세창출판사 | 2018년/ 311p/ 2만1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