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고전·고미술

[정민의 世說新語] [545] 아시인구 (我矢人鉤)

바람아님 2019. 11. 15. 08:18
조선일보 2019.11.14. 03:14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아암(兒菴) 혜장(惠藏·1772~1811)이 제자 자홍(慈弘)에게 준 글을 소개한다. '아암유고(兒菴遺稿)'에 나온다. 여러 사람 글을 인용하고, 자기 생각을 덧댔다.

먼저 소강절(邵康節)의 시다. "세상에서 풍파를 만들지 말아야만, 얼음 숯이 가슴속에 이르는 법 없게 되리(莫作風波於世上, 自無氷炭到胷中)." 없는 말 만들고, 작은 일 부풀리면 가슴속에 얼음덩이나 숯덩이를 품게 된다. 혜장이 보탠다. "이 세상은 안 그래도 풍파가 많은 곳이다. 하물며 내가 이를 일으켜서야 되겠는가?" 제자가 수행보다 세상일에 관심이 많은 것을 나무랐다.


진미공(陳眉公)의 말을 잇댔다. "눈앞의 일은 반쯤 두다 만 바둑과 한가지다. 망령되이 자웅을 다퉈본들 판이 바뀌면 어찌 승부를 가르겠는가. 세상 길은 한바탕 헛꿈일 뿐이다. 굳이 두각을 다툰대도 깨고 나면 어찌 승패를 알겠는가(時事如半局殘棋, 妄鬪雌雄, 局更何分勝負. 世途直一場幻夢, 强爭頭角, 醒後那見輸贏)." 두다 만 바둑을 놓고 승패를 따져 봐야 소용없다. 도토리 키재기로 제 말만 옳다며 싸운다.


뒤쪽에 자신의 충고를 담았다. "객기를 마구 부려 멋대로 내달아 혼란을 일으킨다. 한마디만 제 뜻과 맞지 않으면 창을 뽑아 싸우고, 한 가지 일만 부딪히면 성을 내며 일어나 승리를 다투고 강함을 겨룬다. 나는 화살처럼 곧은데, 남은 갈고리같이 굽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하물며 제나라와 초나라의 실정(失政)은 막상막하이고, 노나라와 위나라의 정치는 난형난제건만, 반드시 내가 주인이 되고 남은 종으로 부리려 들며, 나는 구천(九天)에 있으면서 저 사람은 황천(黃泉)에 두려 한다면 되겠는가(客氣增長, 橫奔亂發, 一言不合, 抽戈而鬪, 一事相激, 衝冠而起, 爭勝爭强. 我直如矢, 人曲如鉤, 且當棄置. 況齊楚之失, 莫上莫下, 魯衛之政, 難兄難弟. 必欲我主而彼奴, 我九天而彼黃泉, 而可得哉)."


사실은 도긴개긴인데 나만 옳고 상대는 다 틀렸다고 한다. 나는 누려야 마땅하고, 저들은 부려야 직성이 풀린다. 나는 저 높은 하늘에 있어야 하고, 저들은 진작에 황천으로 가야 할 인간들이다. 이런 심보로 대화가 될 리 없다. 무슨 일을 하겠는가?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