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어 13개 추가 인정’ [사진 중앙포토]
‘딴지걸다’ ‘딴죽걸다’ 무엇이 표준어일까? 실생활에서 ‘딴지’는 통용되고 있는 말이지만 표준어는 아니다. ‘딴죽’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또는 ‘이미 동의하거나 약속한 일에 대하여 딴전을 부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로 돼있다. ‘딴지’는 사전에 ‘장딴지의 줄임말’로 되어있고, 뜻은 ‘딴죽’과 비슷하게 정의돼있다. 하지만 사전에는 ‘딴죽’의 의미로 ‘딴지’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딴죽’만 표준어로 삼는다고 해설 붙여져있다.
15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국어원(원장 민현식)은 ‘2014년 표준어 추가 사정안’을 통해 “국민들이 실생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그동안 표준어로 인정되지 않았던 ‘삐지다, 놀잇감, 속앓이, 딴지’ 등 13항목의 어휘를 표준어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표준어로 인정된 13개 추가 단어는 인터넷으로 제공되는 『표준국어대사전』(http://stdweb2.korean.go.kr/main.jsp)에 반영된다. 여기에 ‘딴지’도 포함됐다.
국어원은 이날“이번에 추가 인정된 13개 표준어는 올해 8월 29일 국어심의회(위원장 서정목)를 통과하면서 최종 확정된 것”이라며 “어휘 사용 실태 조사와 말뭉치 검색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표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들을 선별했다”고 인정 이유를 밝혔다.
표준어로 새롭게 추가된 13개 인정 항목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다. 이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기존 표준어(괄호 안)와 새 표준어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다.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된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찟’(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찟’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찟’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섬찟’이 표준어가 됨에 따라 ‘섬찟하다’ ‘섬찟섬찟’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한편, 국어심의회에서는 ‘RADAR(radio detecting and ranging)’의 한글 표기로 ‘레이다’와 ‘레이더’를 복수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원어 발음이 [re?d?:(r)]인 것을 반영하여 ‘레이다’를 기본적인 표기로 새로 인정하되, 교과서 등에서 그동안 널리 써온 ‘레이더’도 관용적인 표기로 인정했다.
국립국어원은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여론 조사를 통해 국민의 언어생활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규범에 반영함으로써 국민들이 국어를 사용할 때에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어원은 이날“이번에 추가 인정된 13개 표준어는 올해 8월 29일 국어심의회(위원장 서정목)를 통과하면서 최종 확정된 것”이라며 “어휘 사용 실태 조사와 말뭉치 검색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표준어로 인정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은 것들을 선별했다”고 인정 이유를 밝혔다.
표준어로 새롭게 추가된 13개 인정 항목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기존 표준어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 말을 복수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 현재 표준어와 뜻이나 어감이 달라 별도 표준어로 인정한 경우다.
전자는 ‘삐지다’(삐치다) ‘눈두덩이’(눈두덩) ‘구안와사’(구안괘사) ‘초장초’(작장초) ‘굽신’(굽실) 등 5개다. 이는 ‘발음이 비슷한 단어들이 다 같이 널리 쓰이는 경우에는 그 모두를 표준어로 삼는다’는 표준어 규정에 따라 기존 표준어(괄호 안)와 새 표준어 모두 교과서나 공문서에 쓸 수 있다.
‘굽실’과 더불어 ‘굽신’도 표준어로 쓸 수 있게 된 만큼 이 단어를 사용한 ‘굽신거리다’ ‘굽신대다’ ‘굽신굽신’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된다.
별도 표준어로 인정된 항목은 ‘개기다’(개개다) ‘꼬시다’(꾀다) ‘놀잇감’(장난감) ‘딴지’(딴죽) ‘사그라들다’(사그라지다) ‘섬찟’(섬뜩) ‘속앓이’(속병) ‘허접하다’(허접스럽다) 등 8개다.
기존 표준어 ‘개개다’는 ‘성가시게 달라붙어 손해를 끼치다’라는 뜻인 반면 ‘개기다’는 ‘명령이나 지시를 따르지 않고 버티거나 반항하다’는 뜻의 속된 표현이어서 복수 표준어가 아닌 별도 표준어로 인정했다.
‘섬찟’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시무시하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 ‘섬뜩’은 ‘갑자기 소름이 끼치도록 무섭고 끔찍한 느낌이 드는 모양’으로 언뜻 별 차이가 없어 보이나 ‘섬찟’의 느낌이 한층 강하다는 것이 국어원의 설명이다. ‘섬찟’이 표준어가 됨에 따라 ‘섬찟하다’ ‘섬찟섬찟’ ‘섬찟섬찟하다’ 등도 표준어로 함께 인정됐다.
한편, 국어심의회에서는 ‘RADAR(radio detecting and ranging)’의 한글 표기로 ‘레이다’와 ‘레이더’를 복수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원어 발음이 [re?d?:(r)]인 것을 반영하여 ‘레이다’를 기본적인 표기로 새로 인정하되, 교과서 등에서 그동안 널리 써온 ‘레이더’도 관용적인 표기로 인정했다.
국립국어원은 “언어 사용 실태 조사 및 여론 조사를 통해 국민의 언어생활에 불편한 점이 없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규범에 반영함으로써 국민들이 국어를 사용할 때에 더욱 만족할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人文,社會科學 > 日常 ·健康'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日, 유별난 '연하장 사랑'.. 모바일시대에도 34억장 발행 (0) | 2014.12.19 |
---|---|
[김태훈의 트렌드 돋보기] 列强의 독서 목록 (0) | 2014.12.17 |
2000년 전 사랑의 낙서 (0) | 2014.12.15 |
[삶과 믿음] 불변의 진리, 인생무상 (0) | 2014.12.14 |
[Why] [최보윤 기자의 交感(교감)] 우아한 가난뱅이로 사는 법 (0) | 201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