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62] 세상에서 가장 슬픈 만남 (출처-조선일보 2012.05.09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폴란드 트레블링카의 유대인 절멸수용소(extermination camp)에 끌려갔다가 가까스로 살아남은 생존자인 아브라함 봄바는 자신이 겪었던 일을 이렇게 증언한다. 어느 날 수용소에 전직 이발사들을 모두 차출하라는 명령이 내려왔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4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29] 모델 T와 중용(中庸) (출처-조선일보 2011.09.26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오늘은 포드 자동차가 그 유명한 '모델 T'를 처음으로 출시했던 날이다. 1908년 처음 시작할 때에는 한 달에 11대밖에 만들지 못하던 것이 헨리 포드가 세계 최초로 고안한 조립라인(assembly line) 분업공정 덕택에 1914년에 이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4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28] 정자 기증 (출처-조선일보 2011.09.19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세계 최고 '다산의 여왕'으로 기네스북에는 평생 69명의 자식을 낳은 러시아 여인이 기록되어 있다. 모두 27번의 임신에서 두 쌍둥이, 세 쌍둥이는 물론, 심지어는 네 쌍둥이까지 낳으며 이 어마어마한 대기록을 수립한 것..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3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27] 도심 양봉 (출처-조선일보 2011.09.05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시인 신석정은 '어머니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에서 이렇게 묻는다. "서리가마귀 높이 날아 산국화 더욱 곱고/노란 은행잎이 한들한들 푸른 하늘에 날리는/가을이면 어머니, 그 나라에서/양지밭 과수원에 꿀벌이 잉잉거..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2
김대식의 브레인 스토리 [68] 호랑이에게 물린 후 정신 차려봤자 (출처-조선일보 2014.01.21 김대식 KAIST 교수·뇌과학) 2014년엔 소치 동계올림픽도 있고 브라질월드컵 경기도 있다. 하지만 2014년은 무엇보다 제1차 세계대전 100주년을 기념하는 해가 될 것이다. 그런데 100년 전 유럽인들 간의 전쟁이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을까? 케임브리지 대학 역사학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61] 우리는 더 아름다워졌는가 (출처-조선일보 2012.05.0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현대인들은 갈수록 아름다워지는 걸까? '아름다움'의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프랑스의 한 사회학자가 분석한 결과를 보면 대체로 그렇다고 답할 수 있을 것 같다. 프랑스인들은 19세기 이래 키가 커지고 날씬해졌다..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1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249] 12년 만의 퇴임 (출처-조선일보 2014.01.21 최재천 | 국립생태원장·이화여대 석좌교수)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 시장이 지난 1월 1일 12년간의 공직 생활을 마감하고 퇴임했다. 그는 임기 동안 뉴욕의 강력 범죄를 30% 이상 감소시켰으며 지하철역에 시티바이크(Citibike)라는 자전거를 배치하여 뉴욕을 한층 안..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60] 역사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을까 (출처-조선일보 2012.04.2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역사의 흐름을 예측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소련의 몰락이라는 엄청난 사태를 미리 예측했던 학자가 거의 없었다는 사실로도 이를 알 수 있다. 소련이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었다. 1983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