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고전·고미술

[정민의 世說新語] [501] 초화계흔 (招禍啓釁)

바람아님 2019. 1. 11. 08:45
조선일보 2019.01.10. 03:15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윤기(尹愭·1741~1826)가 자신을 경계하여 쓴 '자경(自警)'이다. "아아, 이 내 몸을 묵묵히 돌아보니,

성품 본시 못난 데다 습성마저 게으르다. 속은 텅 비었는데, 어느새 늙었구나(于嗟儂, 默反躬. 性本憃, 習以慵. 中空空, 奄成翁). 입은 아직 뚫려 있고 혀도 따라 움직여서, 아침저녁 밥을 먹고 쉼 없이 말을 한다. 가슴 속을 펴 보여 되는 대로 내뱉는다(口尙通, 舌則從. 飧而饔, 語不窮. 發自胷, 出多衝).

공부를 버려두고 경계하지 않는다면, 나중엔 두려워서 용납될 곳 없으리니, 어이해 틀어막아 그 끝을 잘 마칠까(縱着工, 罔愼戎. 後乃, 若無容. 曷以壅, 曁厥終)?"


또 '자식들을 타이르고 또 스스로 반성하다(警兒輩 又以自省)'에서는 이렇게 썼다.

"저기 저 새를 보라. 기미 보아 날고 앉네. 하물며 사람인데, 화 자초함 생각 않나(相彼鳥矣, 色擧翔集. 矧伊人矣, 不思自及).

탐욕을 부릴 때면 왜 두려워하지 않고, 이익을 붙좇을 젠 어이해 못 깨닫나(方其貪也, 胡不懼兮. 方其趍也, 胡不悟兮)?

득의로운 그때에는 저 잘났다 뻐기지만, 엎어진 뒤에는 후회해도 소용없네(得意之時, 謂巧過人. 覆敗之後, 悔無及焉).

입은 화를 부르고, 행동은 흠 만드니, 생각하고 잘 간수해, 경계하고 삼갈진저(惟口招禍, 惟動啓釁. 念茲在茲, 必戒必愼)."


같은 글에서 또 말한다. "사람이 누군들 말조심을 해야 하는 줄을 모르며, 입을 봉하고 싶지 않겠는가? 그런데도 끝내 그렇게 하지 못하는 것은 어째서일까? 그 마음을 능히 간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진실로 능히 생각하고 또 생각하여 마음으로 잊지 않고, 말을 할 때는 세 번 따져본다. 말을 하려다가도 도로 거둔다면 말을 해야 할 때 말을 하고, 말을 하지 말아야 할 때는 말을 하지 않게 된다. 때에 맞춰 누그러뜨린 뒤에 말하면 허물도 없고 후회도 없을 터이니, 어찌 아름답지 않겠는가(人亦孰不知言之當愼, 孰不欲口之必緘. 而卒不能然者何也? 以此心之不能存故也. 苟能念念不忘, 臨言而三思, 欲發而還收, 則可以當言而言, 不當言而不言, 馴致於時然後言, 无咎无悔矣, 豈不美哉)?"


한마디 더. "사람에게 말은 물이나 불과 같다. 사람은 물과 불이 없이는 살 수가 없다. 홍수나 화재가 나면 너무도 참혹해도, 그 해로움을 삼가면 아무 폐단이 없다."


정민 한양대 교수·고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