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엄 아돌프 부그로의 ‘도토리 줍는 아이들’(1882, 디트로이트 예술원)
유럽 대륙이 한창 인상주의 열풍에 휩싸인 1890년대. 그러나 가장 인기를 끈 화가는 인상주의자가 아니었다. 우리에게 생소한
윌리엄 아돌프 부그로(1825~1905)가 그 주인공.
파리 국립미술학교 출신인 그는 여느 젊은 화가들과 마찬가지로 인상주의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로마대상 수상의
특전으로 로마에 체류하게 되면서 고전미술의 아름다움에 매료된다. 파리에 돌아온 그는 고전미술을 바탕으로 사진적 극사실성
을 덧붙여 새로운 경향의 회화를 만들어냈다.
인상주의를 혐오하던 대중은 그의 작품에 절대적 지지를 보냈고 그의 명성은 영국, 스페인 등 전 유럽으로 퍼져 나갔다. ‘도토리
줍는 아이들’ 속에는, 그림은 아름답고 마음의 평화를 안겨줘야 한다는 전통 회화에 대한 신념이 자리하고 있다.
정석범 문화전문기자 sukbumj@hankyung.com
'文學,藝術 > 아트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이 있는 아침] 미친 화가에게 한 수 배우다 (0) | 2014.02.10 |
---|---|
[그림이 있는 아침] 부드러운 폭력, 눈싸움 (0) | 2014.02.09 |
우정아의 아트 스토리 [116] 공장에서 예술품을 '대량 생산'한 앤디 워홀 (0) | 2014.02.07 |
정경원의 디자인노트 [13] "고래가 숨을 쉰다…" 살아있는 바다를 표현 (0) | 2014.02.07 |
이명옥의 명작 따라잡기 - 그림 속 음식… 꿈과 욕망을 머금다 (0) | 201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