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친구를 부르던 나즈막한 담장은 사라지고 [삶과 문화]

바람아님 2022. 1. 13. 06:11

 

한국일보 2022. 01. 12. 22:00

 

제주도의 집들은 현무암을 쌓아 만든 돌담을 집 둘레로 치고 긴 봉을 두 개 걸쳐서 문의 역할을 했다. 바람이 많은 섬인지라 기본적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돌담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었고 도둑이 없는 섬인지라 방어의 목적이기보다는 최소한의 신호장치 즉, 주인이 집에 있는가 없는가를 알리는 장치로 문이 사용되었다.

 

전통적인 마을의 담장들은 굳이 돌담을 쌓지 않고 싸리가지로 담장을 둘러쳐서 집의 영역을 구분하였다. 그 담장은 마당을 집안일의 공간으로 활용하여 각종 음식물을 널거나 말리고 때론 방아질이나 필요한 가사 일을 돌볼 때 그 영역을 관리해 줄 필요로 존재하기도 했다.

 

https://news.v.daum.net/v/20220112220049339
친구를 부르던 나즈막한 담장은 사라지고 [삶과 문화]

 

친구를 부르던 나즈막한 담장은 사라지고 [삶과 문화]

제주도의 집들은 현무암을 쌓아 만든 돌담을 집 둘레로 치고 긴 봉을 두 개 걸쳐서 문의 역할을 했다. 바람이 많은 섬인지라 기본적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돌담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었고 도둑이

news.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