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2022. 01. 15. 00:00
언제부터인가 사람을 잘 믿지 못하게 됐다. 믿지 못한다는 건 사람을 의심한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에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법을 힘들게 익혔다는 말에 가깝다. 특히 부담스러울 정도의 친절로 무장된 사람들에게 더 그렇다. 과도하게 호의가 있었던 사람들의 마지막이 아름답지 못했던 탓도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호의’ ‘친절’ ‘착함’ 자체가 아니라, 어딘가 부자연스러운 ‘과도함’이다. ‘착한 것’과 ‘착해 보이는 것’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언제부터인가 사람을 잘 믿지 못하게 됐다. 믿지 못한다는 건 사람을 의심한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에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법을 힘들게 익혔다는 말에 가깝다. 특히 부담스러울 정도의 친절로 무장된 사람들에게 더 그렇다. 과도하게 호의가 있었던 사람들의 마지막이 아름답지 못했던 탓도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건 ‘호의’ ‘친절’ ‘착함’ 자체가 아니라, 어딘가 부자연스러운 ‘과도함’이다. ‘착한 것’과 ‘착해 보이는 것’에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
https://news.v.daum.net/v/20220115000034492
[백영옥의 말과 글] [235] 와락, 왈칵, 뭉클
[백영옥의 말과 글] [235] 와락, 왈칵, 뭉클
언제부터인가 사람을 잘 믿지 못하게 됐다. 믿지 못한다는 건 사람을 의심한다는 말이 아니라, 사람에게 기대하지 않는다는 법을 힘들게 익혔다는 말에 가깝다. 특히 부담스러울 정도의 친절로
news.v.daum.net
'人文,社會科學 > 敎養·提言.思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며 생각하며>잠자리에 들 때 (0) | 2022.01.29 |
---|---|
[백영옥의 말과 글] [236] 어른의 시간 (0) | 2022.01.22 |
친구를 부르던 나즈막한 담장은 사라지고 [삶과 문화] (0) | 2022.01.13 |
[백영옥의 말과 글] [234] 체념 증후군에 대하여 (0) | 2022.01.09 |
<살며 생각하며>도스토옙스키를 다시 읽으며 (0) | 2022.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