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메라뉴스] 주남저수지 찾은 천연기념물 '황새' 연합뉴스 2019.01.14. 11:10 주남저수지 찾은 황새 4마리 (창원=연합뉴스) 지난 11일 경남 창원시 의창구 주남저수지에서 목격된 황새 4마리가 휴식을 취하고 있다. 2019.1.14 [생태사진작가 최종수씨 제공] 우리나라 대표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인 경남 창원시 의창구 주남저수지에서 천연기념물 제..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01.15
[IF] 수직으로 자라는 해바라기도 친족 옆에선 굽어 핀다 (조선일보 2019.01.10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서로 관련없는 식물 심으면 뿌리 뻗어 영양분 경쟁 나서 친족과 함께 자라면 공간 양보, 평소보다 꽃 더 많이 피워… 공격 등 위험 상황도 잘 인지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 한다. 혈연(血緣)을 뿌리칠 수 없다는 뜻이다. 개미에서 사람에 이르기까지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01.10
[아하! 생태!] 꽃가루 싣고 멀리 멀리.. 박쥐는 최고 중매쟁이 한국일보 2019.01.05. 04:44 몰디브의 숲 속에서 박쥐가 꽃을 향해 혀를 내밀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지구상에 자라는 식물은 이끼, 고사리까지 합하면 40만종 가까이 됩니다. 이 중 꽃식물이 대략 35만여 종이니 대부분은 식물은 바로 꽃식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꽃식물 가운데서도 약 20%만..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01.06
[한마당-라동철] 바오밥나무 돌연사 국민일보 2019.01.03. 04:01 미국 뉴스 전문채널 CNN이 최근 방송에서 아프리카 남부의 거대한 바오밥나무들이 잇따라 죽어가고 있다고 보도했다. 학술지 네이처 플랜츠(Nature Plants)에 실린 연구 보고서를 인용해 지난 12년 동안 수령이 오래 되고 덩치가 매우 큰 바오밥나무 14그루가 고사했거..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01.04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크리스마스 보내며 지키지 못한 '구상나무'를 생각한다 조선비즈 2018.12.29. 05:01 크리스마스가 지났어도 크리스마스트리 불빛은 여전히 도시의 어둠을 밝힙니다. 축제의 의미도 있지만 불우한 이웃을 돕는 시기라는 의미가 크리스마스에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구상나무(제주도 한라산)는 잃어버린 식물자원이다. 저 같은 사람은 크리스..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2.30
[이유미의 다시 광릉 숲에서] 나무의 상처 치유 한국일보 2018.12.26. 04:44 번개로 피해를 입은 나무(사진 조용찬)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저물어갑니다. 해가 갈수록 다사다난(多事多難)이란 말에 깊이 절감을 하게 됩니다. 특히 마음에 입은 상처는 좀처럼 치유가 어려워, 추워진 날씨에도 불구하고 옷을 여며 입고 숲 산책을 나갔습니다.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2.27
[H#story] '기억할게 로저~' 헤럴드경제 2018.12.11. 07:58 [EPA=연합뉴스] [헤럴드경제=이상섭 기자] 근육질 몸매의 캥거루 스타 ‘로저(Roger)’가 세상을 떠났다. [사진=호주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소 인스타그램] 지난 8일(현지시각) 호주 앨리스 스프링스 캥거루 보호소 측은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로저가 12살의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2.12
英 자연사박물관 선정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 후보작 [포토] 서울신문 나우뉴스 2018.12.05. 10:46 올해 전세계에서 촬영된 아름답고 경이로운 야생동물의 모습을 담아낸 사진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최근 영국 자연사박물관은 해마다 주최하는 ‘올해의 야생 사진작가상’(Wildlife Photographer of the Year) 후보작들을 공개했다.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이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