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 2마리 남은 북부흰코뿔소, 멸종 막을 방법 찾았다 (연구) 서울신문 2018.11.09. 16:06 지구상에 단 2마리만 남아있는 북부흰코뿔소(사진=AFP) 전 세계에 암컷 두 마리만 남아 새끼가 태어날 수 없는 ‘기능적 멸종’을 맞은 북부흰코뿔소를 멸종 위기에서 구해낼 방법, 찾을 수 있을까. 북부흰코뿔소의 유일한 수컷이었던 ‘수단’은 지난 3월 자신이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1.10
[3분과학] 죽음 향한 '시속 830m', 단풍은 왜 아름다울까 중앙일보 2018.11.04. 05:00 시속 830m의 속도로 죽음을 향해 남하합니다. 하루에 20㎞. 이 마지막을 구경하러 사람들은 삼삼오오 산으로 모여듭니다. 마치 그리스도교 국가의 풍습인 사육제가 연상되기도 하는데요. 한 달여에 걸친 이 여행이 끝나면 가을도 끝이 나게 되죠. 바로 ‘단풍’ 얘깁..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1.05
[이동혁의 풀꽃나무이야기] 황칠나무, 감탕나무.. 보길도의 천연기념물 3종을 만나다 조선비즈 2018.11.03. 05:01 전남 완도군은 무려 7개나 되는 천연기념물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도 상록수림(제28호), 예송리 상록수림(제40호), 예작도 감탕나무(제338호), 미라리 상록수림(제339호), 맹선리 상록수림(제340호), 대문리 모감주나무군락(제428호), 정자리 황칠나무(제479호)가 그것입..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1.04
황진이도 울고 가게 한 예쁜 꽃…온난화에 사라질까 걱정 [중앙일보] 2018.10.14 12:00 기생꽃. 황진이도 울고 갈 만큼 예쁘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ll급인 기생꽃. 작은 키에 작고 흰 꽃이 앙증스럽다. 기생꽃이란 이름도 조선시대 기생 황진이도 울고 갈 정도로 예쁘다고 해서 붙여졌다. 하지만 이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0.15
난 들국화가 아니랍니다, 내 이름은 쑥부쟁이 [중앙일보] 2018.10.11 13:00 ━ [더,오래] 윤경재의 나도 시인(19) 왕갯쑥부쟁이. [중앙포토] 이름 부르기 (쑥부쟁이) 제 이름 모르는 채 들국화라 홀대해도 연보라 뽐내거나 노란 꿈 비교 않네 바람에 흔들거려도 속정 깊은 누이여 불쟁이 아버지와 동생들 헌신 봉양 무심한 나무꾼과 노루도 감..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0.12
눈 시원한 반려식물이 뜬다..잘 기르는 '금손' 되는 법 중앙일보 2018.10.09. 00:06 삭막한 아파트 실내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해, 혹은 반려동물 기르듯 생명이 있는 무언가를 기르고 싶은 마음으로 요즘 식물을 가까이 두고 기르는 이들이 많다. 특히 지난해부터 인기를 끌었던 ‘플랜테리어’의 영향이 크다. 플랜테리어는 식물(Plant)와 인테리어(..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0.09
'천연기념물'과 '멸종위기종'이 다른 이유 한겨레 2018.10.05. 14:46 [애니멀피플] 이병우의 새 보기 좋은 날 천연기념물은 문화재청 소관, 환경부 멸종위기종과 조금씩 달라 새들의 활동 반경 고려한 'IUCN 적색목록', 탐조와 보존에 유용 멸종위기2급인 물수리. 새를 보다보면 새의 종류를 알게되고 그 목록을 정리하는 것은 자연스러우..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0.06
알비노 다람쥐 10년 만에 설악산에서 발견 뉴시스 2018.10.03. 13:21 【속초=뉴시스】김경목 기자 =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흰색의 털을 가진 알비노 다람쥐 1마리가 지난달 25일 설악산국립공원 남설악 설악폭포 인근 탐방로에서 10년 만에 발견됐다고 3일 밝혔다. 국립공원연구원 김의경 박사에 따르면 알비노 현상은 유전적으로 피..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8.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