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8] 엥겔계수 (출처-조선일보 2013.03.2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프로이센의 통계학자인 에른스트 엥겔(1821~96)이 19세기 벨기에 노동계급의 가계예산을 연구하면서 개발한 엥겔계수는 단순하지만 아주 강력한 설명력을 가진다. 이 지수는 가계의 총소비 지출액 중에서 식료품비가 차지하는 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6.1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7] 聖 프란치스코 (출처-조선일보 2013.03.21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아시시의 프란치스코(1181~1226)는 유복한 상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 프란치스코는 돈 잘 쓰고 친구와 잘 어울리며 흥겹게 지내는 전형적인 부잣집 아들로 살았다. 그러나 군인으로 전쟁에 참가했다가 포로 생활을 경험하..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6.07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6] 과다노출 (출처-조선일보 2013.03.1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1969년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6호 강의실에서 테오도어 아도르노가 강연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때 여학생 두 명이 교단 앞으로 다가와 젖가슴을 드러내는 바람에 아도르노는 강의실을 나와야 했다.어느 논평자는 이 사건에 대해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31
윤희영의 News English - 의사들이 죽는 법 (출처-조선일보 2014.05.29 윤희영 디지털뉴스부 차장) "의사는 세상에서 가장 좋은 직업이다. 잘 하면 온 세상이 칭송해주고(extol their virtues), 잘못한 것은 모두 땅이 묻어주니까(bury all their faults)." 이런 질시 어린 농담의 대상이 되기도(be the object of such a jealous joke) 하지만, 의사는 누가 뭐래..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5.2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5] 축(軸)의 시대 (출처-조선일보 2013.03.07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대략 기원전 900년부터 기원전 200년 사이에 세계의 네 지역에서 인류의 정신에 지대한 공헌을 할 위대한 전통이 탄생했다. 중국의 유교와 도교, 인도의 힌두교와 불교, 이스라엘의 유일신교 그리고 그리스의 철학적 합리주의가그..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2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4] 국민 행복 (출처-조선일보 2013.02.2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새로 출범한 정부의 주요 정책 키워드가 행복이다. 사실 모든 사람이 행복을 추구한다고 하지만 행복이 무엇인지 정의하기는 쉽지 않다. 그런 마당에 '국민 행복' 추구는 자칫 안갯속으로 빠져들 수도 있다. 행복에 대한 선구적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2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3] 여성과 권력 (출처-조선일보 2013.02.21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여성이 정치적으로 최고위 결정권을 가지게 되면 사회가 크게 변화할까? 전통적으로 여성은 갈등과 경쟁보다는 조화와 협력의 경향이 강하므로 우리나라 역시 '부드러운' 시대로 진입하게 될까? 역사적인 사례들을 보면 꼭 그렇..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17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02] 레미제라블 (출처-조선일보 2013.02.1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빅토르 위고의 소설 제목 '레미제라블(Les Miserables)'은 가련한 사람들을 가리킨다.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가 본격적으로 발전하던 19세기 중엽, 파리를 비롯한 대도시의 뒷골목은 극빈 속에 힘겹게 살아가는 사람들로 넘쳐났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