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6]달력 (출처-조선일보 2013.01.0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새 달력을 펼친다. 이젠 음력보다 양력이 훨씬 친근한 시대가 되었다. 7개 요일로 되어 있는 주일, 30일과 31일로 교대되는 달, 2월만 예외적으로 28일이되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하는 윤달 등으로 구성된 오늘날의 달력이 그레고리력..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9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263] 희망의 배 (출처-조선일보 2014.04.29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이화여대 석좌교수) 2011년 새해 벽두 나는 이 칼럼에 '희망을 말하는 동물'이라는 글을 실었다. 그 글에서 나는 '네 개의 촛불'이라는 제목의 파워포인트 내용을 소개했다. 거기에는 설령 우리 삶에서 평화, 믿음, 사랑의 촛불이 죄다 꺼진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9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5] 강남 좌파 (출처-조선일보 2012.12.2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강남 좌파’는 역사적으로 늘 있어 왔던 현상이다. 프랑스에는 고가의 귀족 식품인 러시아산 철갑상어 알(캐비아)을 즐기는 부자면서 민중을 옹호하는 ‘캐비아 좌파(gauche caviar)’가 있다. 유사한 종류의 사람을 독일에서는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8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58] 새들도 이혼한다 (출처-조선일보 2012.04.23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32만9100쌍이 결혼하고 11만4300쌍이 이혼했다. 한 해 동안 일어난 이혼 건수를 인구 1000명으로 나눈 '조(粗)이혼율'로 비교하면 우리나라가 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4] 채무노예 (출처-조선일보 2012.12.20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프랑스의 인류학자 장-클로드 갈레가 동부 히말라야 지역에서 관찰한 상황은 빚이 사람을 어느 정도까지 악랄하게 옭아매는지 보여준다. 땅도 없고 돈도 없는 이 지역 하층민은 상층 지주들에게 돈을 빌려 살아가지 않을 수 없..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5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57] 꽃밖꿀샘 (출처-조선일보 2012.04.16 최재천 /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온 나라에 벚꽃이 흐드러졌다. 여의도 윤중로와 석촌호수길을 비롯하여 서울의 크고 작은 벚꽃길들도 모두 이번주가 절정이란다. 1960~70년대를 청장년으로 지낸 이들에게는 창경궁(당시 창경원)이 벚꽃놀이의 명소였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3] 빅토르 위고 (출처-조선일보 2012.12.1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빅토르 위고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뛰어들게 된 계기는 1848년 2월혁명이었다.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그는 대통령 선거에서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황제의 조카)을 지지했다. 그런데 나폴레옹이 권력을 내려놓지 않으려고 스스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3
최재천의 자연과 [156] 선택 (출처-조선일보 2012.04.09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또다시 선택의 순간이 다가왔다. 내일(11일)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날이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한 마디로 선택이다. 장하준 교수의 근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를 읽어보니 경제도 결국 선택인 듯싶다. '정의란 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