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50] 조권 효과 (출처-조선일보 2012.02.27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소녀시대와 빅뱅, 그리고 2PM 등 이른바 아이돌 그룹이 이끄는 최근의 한류 열풍에 대해 드디어 세계가 주목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와 교류가 활발한 것도 아닌 남미 어느 나라의 공항에 우리 아이돌 스타를 보기 위해 수..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4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85] 흉년 (출처-조선일보 2012.10.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과거에는 나라의 모든 일이 농사에 달려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흉년이 들면 사회 도처에 빨간불이 켜진다. 그 옛날 흉년의 기록은 차마 눈뜨고 볼 수 없는 비극적인 광경을 보여준다. 자식들이 팔려가는 정도는 다반사고,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84] 미사일 (출처-조선일보 2012.10.10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나치는 불리한 전세를 완전히 뒤바꿀 수도 있는 강력한 무기개발에 성공했다. 1000kg에 달하는 탄두를 1000㎞까지 쏘아 보낼 수 있는 탄도미사일을 만든 것이다. 폰 브라운 박사가 총책임자인 소위 '로켓팀'..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2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48] 소리 화석 (출처-조선일보 2012.02.13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2010년에 작고한 시카고대의 괴짜 진화생물학자 리 밴 베일런(Leigh Van Valen)은 숱한 이야깃거리를 남겼다. 그에 대해 내가 들은 이야기 중 가장 황당한 것은 그가 어느 학회에서 실제로 재현했다는 공룡의 구애 노래에 관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2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83] 문화와 상품 (출처-조선일보 2012.10.03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문화는 원래 사고파는 상품이 아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상품 속에 문화가 녹아있고 또 문화 자체가 상품화되어 전 세계 사람의 삶을 알게 모르게 변화시킨다. 아시아 사회에서 줄 서기 문화는 분명 서구에서 수입된 것이다. 사실..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1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47] SNS와 페로몬 (출처-조선일보 2012.02.06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다세포생물의 몸 안에서 세포들 간의 정보전달을 도와주는 화학물질을 호르몬이라고 한다. 비슷한 일이 개체와 개체 간에도 벌어지는데 이때 작용하는 화학물질이 바로 페로몬이다. 호르몬은 주로 내분비선에서 분비되..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82] 발전의 대가(代價) (출처-조선일보 2012.09.26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현대사에서 동아시아 3국의 경제 발전은 경이로운 일임에 틀림없다. 가장 먼저 앞서나간 일본은 아시아 국가 중 처음으로 서구 국가들을 압도하는 강국이 되었다. 한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후진국으로 출발하여 선진국으로 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0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46] 스마트(smart) (출처-조선일보 2012.01.30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나는 앞으로 10년간 우리가 가장 자주 사용할 단어 중의 하나가 '스마트'라고 생각한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이미 2000만명을 넘어섰고 이른바 '스마트시장'의 규모도 연간 50조원을 육박하고 있다. 조만간 우리는 스마트홈에..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