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58] 새들도 이혼한다 (출처-조선일보 2012.04.23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01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32만9100쌍이 결혼하고 11만4300쌍이 이혼했다. 한 해 동안 일어난 이혼 건수를 인구 1000명으로 나눈 '조(粗)이혼율'로 비교하면 우리나라가 4.7로 경제협력개발기구(O..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4] 채무노예 (출처-조선일보 2012.12.20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프랑스의 인류학자 장-클로드 갈레가 동부 히말라야 지역에서 관찰한 상황은 빚이 사람을 어느 정도까지 악랄하게 옭아매는지 보여준다. 땅도 없고 돈도 없는 이 지역 하층민은 상층 지주들에게 돈을 빌려 살아가지 않을 수 없..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5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157] 꽃밖꿀샘 (출처-조선일보 2012.04.16 최재천 /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온 나라에 벚꽃이 흐드러졌다. 여의도 윤중로와 석촌호수길을 비롯하여 서울의 크고 작은 벚꽃길들도 모두 이번주가 절정이란다. 1960~70년대를 청장년으로 지낸 이들에게는 창경궁(당시 창경원)이 벚꽃놀이의 명소였다.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5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3] 빅토르 위고 (출처-조선일보 2012.12.12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빅토르 위고가 본격적으로 정치에 뛰어들게 된 계기는 1848년 2월혁명이었다. 국회의원으로 당선된 그는 대통령 선거에서 루이 나폴레옹(나폴레옹 황제의 조카)을 지지했다. 그런데 나폴레옹이 권력을 내려놓지 않으려고 스스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3
최재천의 자연과 [156] 선택 (출처-조선일보 2012.04.09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행동생태학) 또다시 선택의 순간이 다가왔다. 내일(11일)은 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있는 날이다. 민주주의의 핵심은 한 마디로 선택이다. 장하준 교수의 근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를 읽어보니 경제도 결국 선택인 듯싶다. '정의란 무..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3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2] 오즈의 마법사 (출처-조선일보 2012.12.0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프랭크 바움의 소설 '오즈의 마법사'는 1900년에 처음 선보인 후 영화와 뮤지컬로 각색되어 널리 알려졌다. 특히 1939년에 빅터 플레밍 감독이 만든 영화는 '무지개 너머(Over the rainbow)'와 같이 우리에게 잘 알려진 멋진 노래와 재미..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2
최재천의 자연과 문화 [262] 무기력 사회 (출처-조선일보 2014.04.22 최재천 국립생태원장·이화여대 석좌교수) 마음이 우울하여 도무지 일이 손에 잡히지 않는다. 책 속에 길이 있으려니 하여 한병철의 '피로사회'와 박경숙의 '문제는 무기력이다'를 다시 읽었다. 재독 철학자 한병철은 우리 시대를 긍정성의 과잉에 기댄 '성과사회..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2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191] 마키아벨리 (출처-조선일보 2012.11.2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대선을 앞둔 이 시점에 정치학의 고전인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몇 구절을 읽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현명한 군주는 신의를 지키는 것이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때 그리고 약속을 맺은 이유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