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옥자 교수의 '조선 선비 리더십'] 조선시대 지식인 선비는 修己治人, 知行一致 추구… 요즘은? (출처-조선일보.[Weekly BIZ] 2014.07.19 정리=이위재 기자) 治人은 백성을 위한 봉사 인격과 학문을 도야해야 다른 사람을 다스릴 수 있어 강자를 억누르고 약자는 부추겨줘 함께 더불어 사는 사회 추구 옳은 일 위해선 사약·귀양도 불사 통치자가 부덕할 때엔 벼슬 거부 정옥자<사진> 서..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20
[김정운의 敢言異說, 아니면 말고] 군대 축구, 독일 축구, 그리고 한국 축구 (출처-조선일보 2014.07.18 김정운 문화심리학자·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 나치즘 망령 휩쓸었던 독일, 歸化선수들 뽑고 舊동독 출신 총리가 보듬는 自祝 장면 감동적 못 거른 분노 엿으로 내뱉은 우리 자화상이란…한 달 동안 새벽마다 잠을 설쳤다. 월드컵 축구 때문이다. 솔직히 난 축구..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1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2] 낙타 (출처-조선일보 2013.04.24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기차가 등장하기 이전에 가장 중요한 장거리 육상 수송 수단은 낙타였다. 많은 짐을 지고 오랫동안 광대한 사막이나 초원지대를 오갈 수 있는 유일한 동물이기 때문이다. 그 덕분에 문명권 간에 교역과 교류가 가능했고, 상호 영..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17
[서평] 부끄럽지 않은가?… 당신의 민낯 (출처-조선일보 2014.07.12 김윤덕 기자) [서평] 무엇이 가치 있는 삶인가| 로버트 노직 지음|김한영 옮김|김영사|436쪽|1만8000원 성찰하는 삶을 자화상에 비유 죽음·사랑·性… 26가지 논제에 대한 자유주의 철학자 노직의 인생학 강의 "신의 존재보다 중요한 것은 日常… 당신도 예수.. 人文,社會科學/책·BOOK 2014.07.12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1] 칼리굴라 (출처-조선일보 2013.04.17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로마 황제 중 최악의 인물을 고르라면 칼리굴라(재위 서기 37~41)도 유력한 후보 중 하나다. 당대 사료들을 전부 믿을 수는 없지만, 그가 끔찍한 기행을 벌였다는 것은 사실로 보인다. 그는 궁정 인사들의 부인을 강요하여 억지로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09
그림으로 보는 자연- 반찬도 되고 약도 되는 고마운 가을 들꽃 '쑥부쟁이' (출처-조선일보 2013.09.12 박윤선 생태교육 활동가) 고개를 뒤로 젖히고 하늘을 한번 봐. 맑고 푸른 가을 하늘이야. 낮에는 좀 덥다 해도 햇볕이 여름처럼 따갑진 않아. 아침저녁으로 선선해서 기분도 참 좋지. 산으로, 들로 다니기 더 좋은 날이 되었어. 자, 이제 가을을 어떻게 보낼 예정이..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4.07.06
[서평] 여우와 고슴도치… 누구를 믿을 것인가 (출처-조선일보 빅데이터 시대, 정보는 대부분 '소음'… 좋은 예측은 의미있는 '신호'만 포착 미국 대선 예측해 맞힌 네이트 실버 "대범하지만 고집 센 고슴도치보다 신중한 여우가 더 나은 예측을 한다" 신호와 소음 네이트 실버 지음|이경식 옮김 더퀘스트|764쪽|2만8000원 미래를 예측.. 人文,社會科學/책·BOOK 2014.07.05
인문의 향연 - 분노를 숙성시켜야 하는 이유 (출처-조선일보 2014.02.10 김미현 이화여대 교수·문학평론가) 감정, 사회의 최후방으로 중시… '脫감정'은 위기에 무반응한 것 분노 안 해 빼앗긴 존엄성 찾는데 사적인 짜증과 公憤은 구별해야 분노를 통해 세상을 바꾸려면 지속적인 단련과 책임이 필요 돌아온 탕아(蕩兒)가 효자 노릇을..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