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6] 부부간 사랑의 방법 (출처-조선일보 2013.05.23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부부간 사랑은 어떠해야 할까? 기독교 윤리가 지배하던 서양에서는 기본적으로 남녀 간 사랑에 대해 불신을 가지고 있었다. 그나마 애정에 의한 사랑은 낫지만 육욕(肉慾)에 따른 사랑은 사악한 것으로 여겼다. 그것은 흔히 부모..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8.13
[서평] '정신적 삶'을 가르치면 가난도 이긴다 (출처-조선일보 2014.08.09 허윤희 기자) 인문학은 자유다 얼 쇼리스 지음|박우정 옮김|현암사|464쪽|2만원 "인문학 교육이 빈민의 삶을 바꿀 수 있다"고 주장한 미국 언론인이자 사회비평가 얼 쇼리스(1936~2012)의 유작이다. 그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인문학 교육과정인 '클레멘트 코스'.. 人文,社會科學/책·BOOK 2014.08.09
[김정운의 敢言異說, 아니면 말고] '구체화'할 수 없다면 가짜다! (출처-조선일보 2014.08.08 김정운 문화심리학자·여러가지문제연구소장) 공부하는 재미는 간절함과 명확성에 달렸음을 클레·실레 독특한 畵風 비밀 파헤치며 깨달아 좋은 글도 내 삶에 구현 못하면 무슨 소용이랴한 달 가까이 유럽의 박물관, 미술관을 헤매다 돌아왔다. 몇 년 전부터 '인..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8.08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5] 부처님의 아들 교육 (출처-조선일보 2013.05.15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여시아문(如是我聞 -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부처님이 라훌라를 현제(賢提)라는 절에 보내 90일 동안 안거하며 공부하도록 시켰다. 그렇지만 그는 성미가 거칠고 사나운 데다 말이 거칠어 제대로 정진하지 못했다. 부처님은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8.06
[만물상] 에볼라 바이러스 (출처-조선일보 2014.08.05 김철중 논설위원·의학전문기자) 1976년 아프리카 중부 콩고공화국에서 정체불명 괴질이 발생했다. 환자는 고열에 시달리고 내부 장기에 출혈이 있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사이, 환자는 300여명으로 늘었다. 치사율은 90%까지 치솟았다. 나중에 환자 피에서 새로운 ..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8.05
[서평] 뉴스의 소용돌이에서 살아남는 법 (출처-조선일보 2014.08.02 박돈규 기자) 알랭 드 보통이 쓴 '뉴스 사용설명서' 대중은 뉴스를 소비하며 안도감 얻는다 끔찍할수록 더 중요하게 다뤄지는 국제 뉴스 재난 뉴스는 성숙한 성찰에 이르지 못해… 실패 전하기보다 자부심·희망도 일러줘야뉴스의 시대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 .. 人文,社會科學/책·BOOK 2014.08.02
[과학을 읽다]에볼라 비상..2100만명 라고스가 위험하다 서아프리카에서 발생한 에볼라 바이러스가 확산되면서 전 세계에 비상이 걸렸다. 나이지리아 라고스에서 감염환자가 사망하는 사건이 일어나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리베리아에서 지난 20일 비행기를 타고 라고스에 도착한 패트릭 소여(Patrick Sawyer)가 에볼라 증상을 보였고 그는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31
주경철의 히스토리아 [214] Thank you (출처-조선일보 2013.05.08 주경철 서울대 교수·서양근대사) 영국이나 미국인들은 '플리즈(please)'나 '생큐(thank you)' 같은 말을 입에 달고 산다. 언제부터 그랬을까? 그리고 그 의미는 원래 무엇이었을까? 식탁에서 옆 사람에게 소금을 건네 달라며 'please'라고 말할 때 원래의 말뜻은 '당신이 .. 人文,社會科學/人文,社會 2014.0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