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日本消息

北은 연일 압박, 日은 러브콜..북일정상회담 가시권?

바람아님 2018. 9. 3. 09:51

뉴스1 2018.09.02. 18:35

 

日 "납치문제 해결".. 北 "과거사 청산·배상"
6월부터 쌍방 메시지, 7월엔 베트남서 비밀접촉
아베 신조 일본 총리©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경제적 배상·제재 완화를 바라는 북한과 납북자 문제 해결을 바라는 일본의 정상회담이 가시권에 들었다는 전망이 나온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2일 보도된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북일 관계가) 한 걸음 더 나아갔으면 한다"며 "그 마지막엔 내가 김 위원장과 마주 앉지 않으면 안 된다"고 밝혔다.


기존에도 밝힌 바 있는 북일정상회담 의지를 거듭 나타낸 것인데, '한 걸음 더'라는 표현은 북일 간 접촉이 이미 발전 궤도에 올랐다는 뜻도 내포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최근 북일 간에는 긍정적인 기류가 적잖이 있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기타무라 시게루 일본 내각 정보관과 김성혜 북한 통일전선부 통일전선 책략실장은 지난 7월 베트남에서 비밀 회담을 했다.


지난달 25일엔 북한이 위법행위 혐의로 억류했던 일본인 관광객 스기모토 도모유키를 석방했다. 억류 한 달이 채 못돼 전례 없이 빠른 속도로 석방한 것이다. 북한은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관대히 용서"한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과거사 청산을 촉구하며 일본을 향한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는 점을 토대로 북한은 일본과 대화할 의지가 없다고 보기도 한다. 일본인을 조기 석방한 것도 협상 카드로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란 해석이다.


지난달 23일 북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대변인은 일제강점과 관련한 담화를 내고 "일본은 과거청산 없이는 한치도 미래로 나갈 수 없다는 것을 똑똑히 알아야 한다"고 했다. 지난달 29일엔 노동신문이 일제강점을 비판했고 지난 1일엔 '조선인강제연행피해자·유가족협회'가 대변인 담화를 내고 간토대지진 때 이뤄진 일본의 조선인 학살의 진상을 밝히고 사죄·배상하라고 요구했다.


하지만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과 관영 조선중앙통신 등 주요 매체들이 일본을 겨냥해 끊임없이 과거사 청산 메시지를 던지는 것은 역설적으로 대화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자 대일 협상력을 키우기 위한 행보란 해석도 가능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싱가포르통신정보부 제공) /뉴스1DB

일본은 6·12 북미정상회담을 계기로 북한이 국제외교무대 전면에 등장하자 공개적으로 북한에 '러브콜'을 보냈는데, 북한 매체는 그 이후인 6월22일쯤부터 '과거사 청산'을 집중적으로 요구하고 나섰다.

6월 이전에도 일본 비판 기사를 종종 게재했지만 비핵화와 관련한 일본의 대북압박 정책 기조 또는 군사정책을 겨냥한 것이었다. 그러던 중 일본이 대화를 제안하자 과거사 청산을 대화의 선결조건으로 제시하고 나선 셈이다.


북한이 일본을 강도 높게 비난하던 와중인 지난 7월 북일 간 베트남 회담이 이뤄진 사실은 눈여겨볼 만하다. 조선중앙통신은 7월3일자 논평에서 "(일본은) '제재유지'니 '납치문제'니 하고 주제넘게 놀지 말고 과거를 깨끗이 청산할 용단부터 내려야 한다"고 했다.


납치문제 거론에 대해 '주제넘다'고 비난했지만 같은 달 일본과 비밀회담을 했다. 요미우리 신문 보도에 따르면 기타무라 정보관의 회담 목적은 일본인 '납치 문제 해결'이었다.

북한과 일본이 정상회담을 하게 되면 협상 의제는 2002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고이즈미 준이치로 일본 총리가 채택한 '평양선언'과 유사할 것으로 전망된다. 당시 양측은 북일 국교 정상화의 전제조건으로 각 핵·미사일 개발 문제와 납북 일본인 문제 해결, 그리고 일본의 식민지배에 대한 사죄와 경제적 보상을 제시한 바 있다.


일본으로선 납치 문제 해결이 시급하다. 아베 총리는 산케이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과) 회담을 한다면 납치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북한은 100억 달러를 웃돌 것으로 보이는 청구권 자금에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경제개발 종잣돈으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협상 과정에서 일본의 독자적인 대북제재를 완화·해제해줄 것을 요청할 가능성도 있다.

dh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