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보 2020.07.07. 12:10
WHO ‘공중보건위기’ 6차례 중
5차례가 기후변화와 밀접 관련
동물 서식지 파괴 등 영향으로
인간·포유류 간 거리 가까워져
신종플루·에볼라·코로나19 등
바이러스 공유 상호작용 나타나
“특정 질병과 같이 기후변화를
국제공중보건위기로 선포해야”
전 지구적인 기후 위기가 인류를 위협하고 있다. 감염병 사태가 전 세계를 공포와 공황에 빠뜨렸고, 극심한 미세먼지·가뭄·폭염·홍수가 발생하면서 인류 문명에 비관론이 팽배하다.
기사 전문(全文)은 아래 링크로 해당기사와 연결됩니다
![]() |
영국 퀸메리대의 앤드루 하머 박사는 지난 3월 영국 의학저널에 게재한 보고서를 통해 “빠르고 잠재적으로 돌이킬 수 없는 기후변화는 세계 공중보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며 “특정 질병을 다루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기후변화 자체를 국제 공중보건 위기로 선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최재규 기자 jqnote91@munhwa.com
'人文,社會科學 > 科學과 未來,環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 정자의 '직진 운동' 비밀, 300년 만에 풀렸다 (0) | 2020.08.02 |
---|---|
[지구를 보다] 5분 동안 무려 40회..멕시코 도시 강타한 번개·벼락 (0) | 2020.07.17 |
[아하! 우주] 지구도 삼켜버릴 소용돌이..토성 육각형 구름의 미스터리 (0) | 2020.07.07 |
과학자들 "코로나, 비말 아닌 공기 통해 전염" (0) | 2020.07.06 |
[미래 Big Questions ]〈16〉 그리움- 그리움도 원하는 만큼 소비·생산 가능한 또 다른 ‘상품’ (0) | 2020.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