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의 오른쪽 끝에 있는 초가지붕 건물이 바로 굿청이다.
음식을 차린 소반을 보자기로 덮고, 옆에 차린 제물 역시 붉은 보자기로 덮어 두었다.
굿판에서 무당은 춤을 추고 있고, 그림 아래쪽의 남자 둘은 피리를 불고 장구를 치고 있다.
무당과 박수 두 명으로 구성된 패다.
보통 굿은 여러 명의 무당과 잽이(樂工)로 구성되는데, 이 패가 3명인 것으로 보아 아주 작은 굿이다.
그림(2)는 김준근의 ‘무녀 굿 하고’인데, 무당은 전복(戰服)을 입고 주립(朱笠)을 쓰고 오른손에는 방울을,
왼손에는 부채를 쥐고 있다. 이 무당의 패거리도 역시 3명이다. 박수 하나는 장구를 치고, 총각은 징을 치고 있다.
아래쪽에 간단한 제상이 차려져 있고, 고리짝 둘에는 옷이 담겨져 있다.
그림(1)에 보이는 고리짝과 같은 것으로 보인다. 아마도 신에게 바치는 옷일 것이다.
굿도 종류가 많다. 그림(1)에 등장하는 굿은 어떤 굿인가. 무녀가 입은 옷을 보자. 이 옷은 가슴께에 주름을 잡고 있다.
이처럼 주름을 잡은 옷을 철릭이라 한다. 붉은 색 철릭이니, 곧 홍철릭이다. 철릭은 원래 무관이 입는 공복이다.
품계에 따라 천의 색이 다른데, 여기에 등장하는 홍철릭은 왕이 교외로 거둥할 때 3품에서 9품까지가 입는다.
철릭을 입을 때 쓰는 모자도 다르다.
1품에서 3품까지 당상관은 자립(紫笠)을,4품에서 9품까지 당하관은 흑립(黑笠)을 썼다.
그림의 무녀는 흑립을 쓰고 있으니, 당하관 무관 복색인 셈이다.
●군웅은 사신들의 무사를 비는 굿
신윤복의 ‘굿’은 어떤 굿 장면을 그린 것인가.
서울의 굿에는 열두거리가 있고, 거리마다 무당의 옷차림과 무구(巫具)가 다르다.
난곡(蘭谷)이란 사람이 그림을 그리고 설명을 붙인 ‘무당내력’이란 책이 있는데,
이 책에 의하면 열두거리는
(1)감응청배 (2)제석거리 (3)별성거리 (4)대거리 (5)호구거리 (6)조상거리
(7)만신말명 (8)신장거리 (9)창부거리 (10)성주거리 (11)구릉 (12)뒷전이다.
‘굿’에 나오는 복색을 한 거리는 ‘구릉’의 것이다.
오른손에는 부채를 들고 왼손에는 돈을 흰 종이에 싸서 드는 것이 ‘구릉’의 특징인데
(이 돈은 여행 도중 만나는 뜬귀들에게 주는 것이다),
위 그림에는 소매에 가려 흰 종이로 싼 돈은 보이지 않지만, 홍철릭을 입은 것을 보면,‘구릉’과 꼭 같다.
‘구릉’은 원래 ‘군웅거리’다.
‘무당내력’의 구릉에 대한 설명에 의하면, 명나라 때 우리나라 사신들이 바닷길로 중국에 갔다 왔다 하였으므로,
사신이 출발할 때 모화관 재 밖에 있는 성황당에서 무녀가 무사히 돌아올 것을 빌었다.
이것이 풍속이 되어 치성을 드릴 때 으레 구릉을 거행한다.
이 설명에 따르면 군웅(구릉)은 원래 조선의 사신들이 바닷길로 중국에 오갈 때 무사하기를 비는 굿이었다.
무당이 입고 있는 철릭은 국내에서 외국으로 파견될 때나 왕의 궁궐 밖으로 거둥할 때 수행하는 벼슬아치들이 입는 옷이었다
하니, 이것이 군웅거리를 할 때 철릭을 입게 된 유래가 아닌가 한다.
다만 그림에 보이는 치성을 드리는 주인 여자가 어떤 이유에서 이 굿판을 벌였는지는 알 길이 없다.
남편이나 아버지가 역관이 되어 중국에 간 것인지도 모를 일이다.
아니면 나라 안의 어디로 장사를 떠난 것인지, 과거 시험을 치러 간 것인지,
또 다른 일로 먼 지방으로 떠난 것인지도 모른다.
군웅굿의 신은 서울 지방에서는 뱃길의 신일 뿐 만 아니라, 씨조신(氏祖神) 가업수호신(家業守護神) 등이 된다고 하니,
집안의 평안을 비는 굿일지도 모른다.
●조선시대 무당은 도성서 추방되기도
김준근의 ‘무녀 굿 하고’는 어떤 굿인가.
무당이 오른손에 방울을, 왼손에 부채를 들고 있는 경우로 열두거리 중 성주거리(성주풀이)가 있다.
물론 무구를 이렇게 드는 경우로 호구거리와 조상거리가 있지만, 이 두 거리는 모두 치마저고리를 입는다.
전복을 입는 것은 성주거리가 유일한 것이다.
이런 까닭에 그림(2)의 굿은 성주거리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성주거리는 ‘무당내력’에 “단군 때 해마다 시월이 되면 무녀로 하여금 집을 지은 것을 축하하도록 했는데,
그 뜻은 인민들이 그 근본을 잊지 않도록 하려는 것이었다.
치성을 드릴 때면 으레 성주거리를 거행한다.” 하였다.
‘근본을 잊지 않는다.’는 것이 무슨 뜻인지 애매하지만 어쨌거나 대개 옛날 사람들은 새 집을 짓고 이사를 하면,
가옥을 관장하는 신인 성조신을 모시는 굿을 했던 것이다. 그림(2)의 굿 역시 이런 연고로 벌인 것이 아니었을까.
무당이 섬기는 신이 실제로 존재하는가 하는 물음을 던질 수 있다.
이성적인 사유에는 무당이 섬기는 신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
이성에 비추어 본다면, 무속 신만이 아니라 모든 종교의 신들이 들어설 공간이 없다.
하지만 현존하는 이 우주, 또는 세계의 기원과 삶과 죽음에 대해 사유하면,
어느 덧 이성으로 접근할 수 없는 곳에 가서 부닥친다.
죽음을 아무리 이성적으로 설명한다 해도,
그 설명이 죽음이 불러오는 슬픔을 위로하지는 못하는 법이다.
신과 종교는 그렇게 해서 탄생한다.
조선을 건국한 사대부들은 냉철한 이성의 유학인 성리학을 국가의 이데올로기로 삼아 조선을 세우고,
무속을 불합리한 의식으로, 무속의 신을 근거 없는 잡귀로 여겨 무당과 굿을 맹렬히 비난하고 제거하려고 했지만,
무당과 굿은 사라지지 않았다.
무속의 존재, 나아가 신을 섬기는 종교의 존재는 인간의 깊은 불안감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굿판은 신과 인간을 즐겁게 하기 위한 도구
각설하고, 어쨌거나 조선을 세운 사대부들은 무당을 추방하는 법을 만들었다.
‘경국대전’의 ‘형전’ 금제(禁制)에 ‘무당으로서 서울 시내에 사는 자는 처벌한다.’고 하였으니,
무당은 원칙적으로 서울 도성 안에서 살 수가 없었다.
하지만 어디 원칙이 언제나 지켜지던가?
원칙은 원칙일 뿐이고, 무당들은 단속이 느슨해지면 서울 도성 안에서 살았다.
조선후기의 실록을 들추어보자.
정조 즉위년 5월22일의 ‘실록’을 보면, 왕명으로 서울 시내에 살고 있는 무당을 성 밖으로 쫓아낸다.
한데, 정조 원년 홍상범이란 자가 정조를 시해하고 은전군 이찬을 왕으로 추대하려고 한 사건에 효임이란 무녀가 관계되어
있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서울 도성 안의 무당을 다시 색출해 축출하였다.
하지만 3년 2월8일조 ‘정조실록’에도 무녀들을 도성 밖으로 내쫓는다는 기사가 있는 것을 보면,
무당들은 도성 밖으로 쫓겨났다가 단속이 느슨해지면 다시 들어오곤 했던 것이다.
이렇게 서울 도성을 드나든 무당은 노량진 부근에 집단적으로 살았다.
정조 시대를 살았던 문인 강이천은 노량진 무당에 대해 이렇게 읊었다.
“푸른 금삼에다 흰 수건 머리에 싸매고/
새벽이면 노량진 남쪽에서 온다네/
신통한 무어(誣語)에 눈물을 흘리나니/
삼생의 원업(寃業)을 옛일처럼 안다네”
(素布裏頭綠錦衫,平明多自鷺梁南.神通誣語添珠淚,寃業三生若舊)
굿판을 벌이는 것은 신에게 무언가 바라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신은 인간이 바라는 바를 공짜로 들어주지는 않는다. 해서, 신을 먼저 즐겁게 해야 하는 법이다.
신이 무엇을 즐거워하는지 미욱한 인간으로서는 알 길이 없다.
다만 인간이 즐거워하는 것이면 신도 즐거워하지 않을까.
인간이 즐거워하는 것으로 춤과 음악보다 더 한 것이 있을까.
그래서 굿판은 춤과 음악이 어우러진다.
우리나라 무속의 한 특징으로 강한 오락성을 든다.
사실 굿은 좋은 구경거리인 것이다.
어렸을 때 내가 살던 동네에는 심심찮게 굿하는 소리가 들렸다.
울긋불긋한 무구(巫具)와 요란한 음악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꼬맹이로서는 알 길이 없었지만,
굿은 신기한 구경거리였다.
이제 도시의 굿은 거의 사라지고 없다.
무속은 미신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이 주된 이유일 터이다.
하지만 모든 신앙은 비이성적인 데서 출발한다. 굿 역시 하나의 신앙일 뿐이다.
미신이라 배척되어야 할 이유가 없다.
어디 굿판이라도 벌어지면, 어릴 적에 그랬던 것처럼 넋을 놓고 한 번 보고 싶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