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속의 한국사] 성탄절 직전 10만명 구출한 '흥남 철수(1950년 12월 15~24일)' 작전 (출처-조선일보 2014.12.22 지호진 어린이 역사 전문 저술가) 6·25때 중공군에 밀린 국군·유엔군… 함경도 흥남 항구에서 대규모 철수 12월 24일 마지막 배 '온양호'까지 피란민 10만명도 함께 태워 구출…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 불려요6·25때 중공군에 밀린 국군·유엔군… 함경도 흥남 ..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2.22
1000년간 땅속 묻혔던 신라 역사가 깨어난다 (출처-조선일보 2014.12.12 경주=허윤희 기자) 경주 月城, 12일부터 발굴 시작 "엄청난 게 나올 겁니다. 기대하세요. 20~30㎝만 땅을 파도 유구와 유물이 쫙 깔려 있을 거예요." 11일 경북 경주시 인왕동 경주 월성(月城·사적 제16호) 석빙고 앞. 박윤정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관이 장담..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2.12
이회영(李會榮)과 문무왕 수중릉 [발언대] 李會榮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와 화합 정신(출처-조선일보 2014.11.18 홍일식 우당기념사업회 회장) 11월 17일은 우당 이회영(1867~1932) 선생께서 일제에 항거하다가 여순감옥에서 순국하신 지 82주년 되는 날이다. 우당은 구한말 이조판서 이유승 대감의 4남으로, 대한민국 초대 부통령..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1.18
주몽 고구려의 첫 도읍지를 가다.. 황룡의 꿈 펼친 하늘이 내어준 요새 오녀산성 환런(桓仁) 시내에서 8㎞쯤 달렸을까. 단풍이 곱게 물든 산길을 굽이굽이 돌다가 갑자기 시야가 확 트인다. 순간 눈앞에 펼쳐지는 광경에 절로 감탄사가 터져 나온다. 상상 속 노아의 방주 같은 것이 떡하니 솟아있다. 이름하여 오녀산성이다. 산과 마을을 수호하던 선녀 5명이 흑룡과의 ..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1.01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한민족의 미래 알고 싶다면 광개토대왕릉비를 보라 [출처 ; 동아일보 2014-6-24 일자]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4·끝> 윤명철 교수 광개토대왕릉비는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비석으로 광개토대왕 서거 2년째 되던 해인 414년에 장수왕이 세웠다. 현재 지명으로 보면 중국 지린(吉林) 성 지안(集安)의 시청 소재지에서 동북쪽으로 약 4.5..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29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3>남편을 건국 시조, 장군 만들고 자식들 강하게 키운 고구려 여인들 [출처 ; 동아일보 2014-6-17일자] 평양 동명왕릉 전시관 벽화. 유화부인이 주몽에게 활 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있다. 윤명철 교수 제공 윤명철 동국대 교수 고구려의 사내들에 대해 중국인들은 “교만하고 방자하다(後稍驕恣)” “걸어 다니는 것이 달리는 것 같다(行步皆走)”라고 기록했..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22
[횡설수설/송평인]역사 入社시험 현대자동차가 올 하반기 입사(入社) 시험에 또 까다로운 역사 에세이를 출제했다. ‘로마제국과 몽골제국의 부흥 사례가 현대차에 시사하는 글로벌 전략 방향’과 ‘재평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조선시대 인물과 그 이유’라는 문제다. 명색이 신문사 논설위원인 나도 답하기 만만치 ..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14
[이덕일의 천고사설] 개천절의 뿌리 [출처 ; 한국일보 2014-10-2일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의 시작을 하화족(夏華族)과 동이족(東夷族)의 싸움으로 그리고 있다. <사기> ‘오제(五帝) 본기’의 첫머리가 하화족의 시조인 황제(黃帝)와 동이족의 시조인 치우(蚩尤)와의 다툼으로..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