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일의 천고사설] 공자학교와 동이족의 후예 [출처 ; 한국일보 2014-9-30일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도도평장(都都平丈)’이라는 말이 있다. 논어(論語) ‘팔일(八佾)’편에 공자가 ‘욱욱호문(郁郁乎文)’이라고 말했는데, 한 무식한 훈장이 이를 ‘도도평장(都都平丈)’으로 읽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서호유람지여(西..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04
[이덕일의 천고사설] 국로(國老)를 찾지 않는 사회 [출처 ; 한국일보 2014-9-29일자] 이덕일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장 호(皓)는 희다, 깨끗하다는 뜻과 함께 노인이란 뜻도 있다. 동양사회에서 지혜로운 네 노인의 집단지성을 가리키는 말이 상산사호(商山四皓)인데, 사호(四皓)라고도 한다. 진(秦)나라가 혼란에 빠지자 동원공(東園公), 기리계..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10.02
마르코 폴로, 콜럼버스보다 '200년' 앞서 북미대륙 발견? 동방견문록의 저자로 잘 알려져 있는 이탈리아 베니스 출신 상인 마르코 폴로(1254~1324)가 같은 이탈리아 출신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1451~1506)보다 약 200년 앞서 먼저 북미대륙을 발견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화제를 모으고 있다. 미국 스미소니언 매거진은 마르코 폴로가 콜럼버스보..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27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2>바다를 제패한 아시아의 바이킹, 발해인들 발해 선단들이 고국을 향해 출항했던 일본의 항구인 이시카와 현 노토 반도의 후쿠우라 항. 아시아의 바다를 제패한 발해의 융성함을 엿볼 수 있다. 윤명철 교수 제공 윤명철 동국대 교수중국은 동북공정을 추진하면서 ‘발해는 당 왕조가 관할한 소수민족 지방정권(渤海是我國唐王朝轄..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25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1>바다를 지배했던 고구려 정신에서 배우자 고구려식 무덤천장을 가진 하이혈 고분, 현재 일본 이시가와 현 노토반도에 있다. 윤명철 교수 제공 윤명철 교수우리가 잘못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 가운데 하나가 우리 민족은 해양활동이 활발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특히 고구려는 오로지 만주 대륙에서 말 타고 달리는 기마국가였다..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21
[ 숨어있는 세계사] 영웅이 된 해적, 드레이크 경 (출처-조선일보 2014.09.19 공미라 세계사 저술가) ['해적 왕' 프랜시스 드레이크]에스파냐 보물선 약탈한 해적 드레이크… 英 여왕에 해적 허가증·귀족 작위 받아 칼레 해전서 에스파냐 무적함대 무찔러… 아메리카 식민지 얻어 국가에 기여 세계 일주에 두 번째로 성공하기도['해적 왕' 프..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9
[윤명철 교수의 고구려 이야기]<10>‘황금의 땅’ 고구려… 전쟁 나선 수만대군 갑옷도 번쩍번쩍 평양시 진파리 7호무덤에서 나온 해뚫음무늬 금동관 장식이다.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윤석하 사진작가가 촬영한 것이다. 윤명철 교수고구려는 무려 700여 년 동안 서북방으로는 군사대국인 북방유목종족과 서남방으로는 정치 강대국인 중국지역과 경쟁하면서 강대국으로 존재했다...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6
[토요판 커버스토리]한일관계 ‘조선통신사’에 길을 묻다 [출처; 동아일보 2014-9-13일자] [토요판 커버스토리]한일관계 ‘조선통신사’에 길을 묻다 가깝고도 먼 49.5km 지난달 3일 일본 쓰시마에서 2년 만에 다시 열린 조선통신사 국서 교환식 재현 행사. 쓰시마=배극인 특파원 bae2150@donga.com부산에서 49.5km, 맑은 날 부산 태종대에 오르면 맨눈으로 일.. 人文,社會科學/歷史·文化遺産 2014.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