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北韓消息

中 북중 간 밀무역 이례적 단속강화..식량가격 급등 가능성

바람아님 2016. 3. 28. 00:08
뉴스1 2016.03.27. 10:21

중국 당국이 북중 접경지역에서 이뤄지는 밀무역을 강도높게 단속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북한전문매체인 자유아시방송(RFA)는 "중국 해관(세관) 당국이 북한과의 접경지역인 압록강 일대와 압록강 하구의 뚱강(東港)지역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밀수 단속에 나서고 있으며 다수의 밀수꾼들을 체포해 강도높은 조사를 벌이고 있다"고 중국 단둥의 소식통을 인용해 27일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밀수현장에서 현행범으로 발각되지만 않으면 체포되는 일이 없었는데 매우 이례적인 단속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북-중 우의교'의 모습. 오른쪽 철교는 한국전쟁 당시 부서진 것으로 왼쪽 철교만 현재 운영되고 있다. 건너편 신의주에는 북한 유원지의 모습도 눈에 띈다. ⓒ News1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북-중 우의교'의 모습. 오른쪽 철교는 한국전쟁 당시 부서진 것으로 왼쪽 철교만 현재 운영되고 있다. 건너편 신의주에는 북한 유원지의 모습도 눈에 띈다. ⓒ News1

그는 "중국이 밀수범 색출에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것은 중앙의 지시 때문이라는 말이 돌고 있다"고 덧붙였다.

단둥의 다른 소식통은 "압록강 등 접경 주민들을 강(江) 밀수를 통해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중국 공안이 밀수를 하는 것으로 의심되는 가구들을 방문해 북한과 밀거래가 있는지 탐문조사하고 있다"며 "주민들의 생계형 밀수는 눈감아주던 종전과 비교할 때 매우 이례적인 일"이라고 전했다.


단둥의 한 무역업자는 "북한은 지금까지 유엔 제재 대상이 되는 물건들을 밀수를 통해 확보했다"며 "밀거래로 북한에 들어가는 물자들은 대부분 군수물자로 전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이 소식통은 "최근 밀무역 단속 강화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철저하게 이행하겠다는 중국의 정부의 의지와 무관치 않다"고 해석했다.


중국 당국의 밀무역 단속으로 북한의 식량가격이 급등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은 쌀과 강냉이(옥수수)의 수출은 절차가 까다로워 북한에 들어가는 쌀과 강냉이는 대부분 밀무역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때문에 밀수 단속이 강화되면 북한의 식량수급에 차질이 생기고 장마당의 식량가격은 오를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서울=뉴스1) 조영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