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핫 이슈

트럼프, 北에 "성조기 꽂은 美캐딜락 수십대 평양 누벼도 괜찮냐"

바람아님 2018. 4. 11. 08:13
[중앙일보] 2018.04.10 13:54

평양개최 고수하는 북한에 "시간 걸리더라도 내가 원하는 곳에서" 압박
"700명 사전답사팀, 군용기 10여대 순안공항 착륙 수용가능하냐?"
북·중 회담 뒤 대책회의에서 "중국은 정거장, 미국이 종착역" 자신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다음달(5월) 혹은 6월 초에 그들(북한)과 만나는 걸 여러분이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회의 전 기자들을 향해서다. 대통령 바로 뒷편 의자에는 이날부터 일을 시작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앉아 있었다. 트럼프가 볼턴 NSC(국가안보회의) 체제 첫날에 맞춰 정상회담 시점을 처음으로 언급한 것이다. 그는 또 "미국과 북한이 접촉했다. (정상회담에선) 비핵화 협상이 있을 것으로 본다. 양측 간에 큰 존경심(respect)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도 했다.
 
이날 트럼프의 발언에서 주목할 게 두가지 있다. '6월 초', 그리고 비핵화 협상에 대한 자신감이다.
 
그동안 정상회담 시기는 '5월까지'로 돼 있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도 지난달 8일 백악관에서 트럼프의 북미정상회담 수락 사실을 발표할 때 "5월까지(by May)"라고 했다. 이게 이날부터 '5월 혹은 6월초'로 바뀐 것이다. 어떤 배경에서 나온 발언일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워싱턴포스트는 9일 "회담이 6월로 넘어갈 수 있음을 암시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외교소식통은 익명을 전제로 "결국 시기는 장소에 달려있다. 장소가 빨리 합의되면 5월, 늦어지면 6월초"라고 전했다.
 
이 소식통이 전하는 현 상황은 이렇다. 여러 번에 걸친 접촉에서 북한은 '평양 개최'를 강하게 고수했다고 한다. "미국이나 제3국에서 할 경우 경호가 문제가 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내심으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 대통령이 동등하게 평양에서 회담을 하는 모습을 대내외에 과시하고자 하는 속셈이 깔려 있다.
 
이에 미국 측은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한다. 반박 논리는 이렇다. "당신(북한)들이 (평양을) 원한다고 하지만 결코 미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다루지 못할 것이다. 우리는 600~700명의 사전 답사팀이 가서 며칠동안 평양 시내를 돌아다녀야 한다. 군용기 10여 대가 평양 순안공항에 내려야 한다. 또 미국 캐딜락 수십 대가 성조기를 꼽고 평양 거리를 누벼야 하는데 당신들이 그걸 수용할 수 있겠는가."
 
도널드 트럼프.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AP=연합뉴스]

 
대안으로 판문점이나 서울, 제주도 등 한국 개최도 거론되지만 "정치적으로 곡해될 수 있는 한국 개최는 그 가능성이 없다"고 미국 측이 선을 긋고 있다고 한다. 
"트럼프-김정은 회담에 모든 관심과 에너지가 쏠려야지 장소를 제공한 국가의 이해나 영향력 등 다른 요인에 묻히면서 회담을 열긴 싫다"는 트럼프 생각 때문이다. 이 때문에 중국(베이징)·러시아(모스크바) 등도 후보지에서 제외된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 소식에 밝은 관계자는 "당초 5월에 하겠다고 한 것도 한국 특사단이 지난달 8일 워싱턴에 와 '미북 정상회담은 남북회담 후에 하는 거로 해 달라'고 원했기 때문"이라며 "그때도 반드시 5월에 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었다"고 전했다.  
 
청와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난달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서훈 국정원장. 오른쪽은 조윤제 주미대사.

청와대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이 지난달 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 웨스트윙 앞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왼쪽은 서훈 국정원장. 오른쪽은 조윤제 주미대사.

 
따라서 북한과 미국이 회담 개최지를 이달 중순 중 합의하면 5월 개최, 이달 말로 밀리면 6월 개최로 연기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의 이날 '6월 초' 언급도 "장소 문제에서 쉽게 양보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북한과의 협상에 나서고 있는 당사자들 입장에선 시간적 여유가 생긴 셈이다.
 
또 하나. 트럼프가 "비핵화 협상이 있을 것으로 본다"며 정상회담에 자신감을 내비친 발언도 주목된다.  
 
외교 관계자는 "트럼프가 자신의 입으로 직접 북·미 정상회담 준비가 잘 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 조어대(釣魚臺) 양위안자이(養源齎)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오찬한 뒤 환송하는 모습.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달 27일 중국 베이징 조어대(釣魚臺) 양위안자이(養源齎)에서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과 오찬한 뒤 환송하는 모습.

 
이와 관련, 트럼프는 최근 대책회의에서 중국 시진핑(習近平)국가주석과 김정은 회담이 북·미정상회담에 끼칠 영향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고 한다. 
결국 "우리가 흔들릴 필요가 없다. 김정은으로선 중국을 가건, 러시아를 가건 그건 하나의 정거장일 뿐 종착역인 미국과 담판을 지을 수밖에 없다"는 쪽으로 입장이 정리됐다. "지금 김정은은 급행열차를 타고 달려오다 잠시 멈춰 속도조절을 하는 것일 뿐"이란 분석도 제기됐다고 한다. 이때부터 트럼프는 큰 자신감을 보였다는 것이 소식통의 전언이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이날 "트럼프의 이날 발언은 (일각의 정상회담 연기·취소론을 불식하고) 실제 김정은과 만날 것임을 못박은 것"이라고 해석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