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조선닷컴 2016.03.02 박두식 부국장 겸 사회부장)
對北 압박이 성과 거두려면 美·中이 먼저 한국의 決意 무겁게 받아들이게 해야
이란 핵 문제에서 이스라엘이 바로 그런 모델을 보여줬다
한국은 정반대되는 실패 사례
2010년 2월 이스라엘 대표단이 중국 베이징을 찾았다.
이들이 비밀리에 중국을 방문한 것은 이란 핵(核) 문제 때문이었다.
유엔 안보리(安保理)가 이란의 핵 개발을 막기 위한 제재 결의(決議)에 대한 논의에 다시 들어갔을
무렵이었다. 이란은 당시 북한과 함께 핵 개발을 밀어붙이고 있었다.
북한과 이란은 핵·미사일의 파트너이자 쌍둥이 골칫거리였다.
이란 핵 관련 유엔 안보리의 첫 제재 결의가 나온 게 2006년 7월이다.
그해 10월 북은 1차 핵실험을 실시했다.
그러자 유엔 안보리는 닷새 만에 대북 제재 결의를 내놨다.
그러나 이란은 유엔 제재에 눈 하나 깜빡하지 않았다. 북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이란은 유엔 제재에 눈 하나 깜빡하지 않았다. 북한도 마찬가지였다.
당시 이란을 이끌던 아마디네자드 대통령은 유엔 사무총장에게 "제재 따위로 우리를 위협한다면 후회하게 될 것"이라며
"유엔은 상전(上典)인 미국이 하라는 대로 움직일 뿐"이라고 쏘아붙였다.
이란의 핵 개발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던 이스라엘을 겨냥해 "지도에서 지워버리겠다"는 협박도 서슴지 않았다.
이런 이란을 더는 그냥 둘 수 없다며 미국이 다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게 2010년 초다.
이런 이란을 더는 그냥 둘 수 없다며 미국이 다시 팔을 걷어붙이고 나선 게 2010년 초다.
미국으로선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이스라엘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대(對)이란 제재가 성공을 거두지 못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언제든 이란에 대한 공격을 감행할 태세였다.
결코 빈말이 아니었다. 이스라엘은 이미 2007년 인접한 시리아의 핵 시설을 폭격했다.
1948년 건국 후 이스라엘은 단 한 번도 주변의 위협에 굴복하지 않았고, 자신들의 안보를 위협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한
공격을 망설인 적이 없다.
이런 이스라엘이기에 세계 누구도 이란 핵 불용(不容)이라는 이스라엘의 다짐을 가볍게 받아들일 수 없었다.
이란과 북한에 대한 제재는 늘 중국의 비협조 때문에 솜방망이 신세를 면치 못했다.
이란과 북한에 대한 제재는 늘 중국의 비협조 때문에 솜방망이 신세를 면치 못했다.
유엔 안보리가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이란 제재안'을 검토하기 시작한 2010년 2월 이스라엘 대표단이 베이징을 찾은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스라엘은 자신들이 확보한 이란 핵 정보를 중국 측에 내밀었다.
한동안 중국 관리들은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이란에 대한 선제 기습 공격을 감행할 경우 예상되는 중국의 경제적 피해를 거론하기 시작하자
중국의 태도가 확 달라졌다고 한다. 중국은 당시 원유의 10%가량을 이란으로부터 들여왔다.
원유 거래만이 아니더라도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으로 중동 위기가 발발할 경우 고속 질주 중인 중국 경제에 상당한
타격을 줄 가능성은 충분했다.
이스라엘 대표단이 베이징을 떠나고 얼마 안 있어 중국은 대(對)이란 제재 찬성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이스라엘 대표단이 베이징을 떠나고 얼마 안 있어 중국은 대(對)이란 제재 찬성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이스라엘의 경고와 설득 때문만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중국도 국가 생존 차원에서 이란의 핵 보유를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는 이스라엘의 단호한 입장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중국만 그런 게 아니다.
미국이 독자적으로 이란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업·은행·단체에까지 벌칙을 가하는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에
들어가는 등 대이란 제재의 고삐를 바짝 죄기 시작한 것 역시 '이스라엘 변수'와 무관치 않다.
2013년 집권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의 길을 택했다.
2013년 집권한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의 길을 택했다.
그러나 로하니 역시 2000년대 중반 서방과 이란 사이의 핵 협상 책임자로 나섰을 때만 해도 '이란 핵 프로그램은 평화적
목적에 따라 이뤄지는 것'이라고 강변했던 인물이다. 이란의 변화는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게 만든 이란 국민과
국제사회의 압박이 호응을 이룬 결과다.
북핵 문제가 처음 불거진 노태우 정부부터 현 박근혜 정부까지 모두 '북핵 불용'을 외쳐왔다.
북핵 문제가 처음 불거진 노태우 정부부터 현 박근혜 정부까지 모두 '북핵 불용'을 외쳐왔다.
그러나 세계 어느 나라도 한국이 이스라엘만 한 결의로 무장돼 있다고 여기지 않는다.
'북핵의 최대 미스터리는 한국의 무관심'이라는 말이 국제적으로 화제가 될 정도다.
유엔 제재 결의 채택이 북핵의 유일한 해법이자 목표인 양 매달리는 것 역시 20년 넘게 똑같다.
오늘 채택되는 유엔의 대북 제재 역시 '중국의 선의(善意)'에만 기대고 있을 뿐이다.
1420여㎞에 이르는 북·중 국경을 통해 사람과 물자가 그대로 오가는 한 대북 제재의 효과는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한국 정부는 그저 이것을 외교적 성과로 홍보하고 싶어 안달이 나 있는 눈치다.
이래서야 북한 김정은과 미·중·일이 '한국의 입장'을 두렵고 무겁게 받아들일 가능성은 거의 없다.
2010년 북의 연 평도 포격 도발 직후
이스라엘 신문은 '한국은 안보 문제에서 우리가 닮지 않아야 할 모델'이라는 사설을 실었다. 이 신문은
"한국은 북쪽 형제들로부터 협박당하고 큰 타격을 입고도 참고 있어야 하는 나라"라며
"미국 정부는 (한반도 위기가 터지면) 그저 항공모함을 지역에 보내기만 할 뿐 북을 그대로 내버려 둔다"고 했다.
지금 우리는 과연 얼마나 달라졌는가.
[송호근 칼럼] 불길한 망국 예감 (출처: 중앙일보 2013.12.03 ) |
정치권 분열, 약한 국력, 쪼개진 사회, 비전의 소멸, 그리고 열강의 충돌, 이것의 결말은 민족의 파멸이었다. 110년 전 대한제국을 멸망에 이르게 한 파국드라마, 그 악몽은 오늘날 한국과 정확히 닮은꼴이다. |
'時事論壇 > 時流談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러 반발에 총선까지.. 난제만 남은 '사드' (0) | 2016.03.04 |
---|---|
"동료 공격해야 내가 생존"..한국판 배틀로얄 (0) | 2016.03.04 |
[서소문 포럼] 비정규직의 숨통 조이는 귀족노조 (0) | 2016.03.02 |
조태열 외교차관 "개성공단 중단조치, 中 움직인 원인" (0) | 2016.03.01 |
[다산칼럼] 경제민주화와 저성장, 구조개혁으로 반전을 (0) | 2016.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