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이미지](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610/29/htm_20161029031521402.jpg)
김형경/소설가
정신의학에서 ‘환상’은 현실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부딪쳐 피 흘리는 정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기제로 분류된다. ‘몽상’이나 ‘백일몽’ 역시 현실의 어려움으로부터 도피해 숨는 대표적인 장소다. 소설가가 된 후 알아차린 사실은 유년기부터 사용해 온 방어기제가 그대로 직업 도구가 됐다는 점이었다. ‘망상’은 온전한 현실 검증력이 결여된 인지 왜곡 상태를 의미한다. 상상력을 사용하는 직업이 환상과 망상 기능을 은밀히 강화시켜 마침내 정신분석을 받는 지점까지 이어진 게 아닌가 의심한 적이 있다.
![기사 이미지](http://pds.joins.com/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610/29/htm_201610290315256852.jpg)
상상력을 사용하는 직업은 위험한 줄타기 같은 데가 있다. 상상이 잠깐 한눈팔면 영적 스승을 자처하는 사람들이 눈앞에 나타났다, 환상처럼. 상상이 욕심내면 사이비한 길이 열렸다, 몽상처럼. 의존성을 끊어내지 못했다면 그 길을 한참 걸었을지도 모른다. 잘못됐음을 알아차린 후 제자리로 돌아오기 위해선 혈투 같은 자기와의 싸움이 필요했다. 이후 내게는 정신 작용의 결과물을 검증하는 버릇이 생겼다. 그것이 현실 원칙에 부합되는가, 공동체의 질서와 통념에 수용될 만한가, 인류의 보편적 선에 부합되는가, 세 차원에서 점검한다. 칼럼 주제와 거리가 먼 이야기를, 오늘 아침, 어떤 상상력에 이끌려 쓰고 있는지 또다시 점검해 봐야겠다.
김형경 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