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2021. 12. 09. 18:06
[문정희 칼럼]나는 이렇듯 남성 중심의 유교 봉건 사회에서 슬프게 살다간 조선 여성 시인들의 작품을 한데 모아 <기생시집>(2000) 이라는 시선집을 펴낸 바 있다. 그런데 얼마 전 눈물을 머금고 이 시집을 그만 절판시켰다. 출판사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한시바삐 새로 보완하여 제대로 된 시선집을 내놓고 싶었기 때문이다. 우선 시집 제목을 '조선시대 여성 시선집' 정도로 해야 할 것을, 참고문헌들과 그 당시의 관습적 분류에 따라 <기생시집> 이라 붙이고 말았다. |
“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더라”
조선 시대 시인 이매창의 절창이 떠오르는 스산한 계절의 끝자락이다. 황진이와 함께 16세기 이 땅의 빼어난 시인 중 한 사람인 이매창은 기생이라는 특수 신분과 함께 떠오르는 시인이다.
조선의 여성 시인들에게 시는 비단 치마저고리에 꽂힌 장신구였던가? 지금 읽어 보아도 낭창낭창한 정한(情恨)이 가슴을 아리게 하는 명시를 남겼음에도 여성 시인들의 작품은 문학작품으로 본격적인 연구 대상이 되기보다 기녀라는 특수 신분과 함께, 흥미나 스토리와 함께 유보 조항으로 다뤄지곤 했다. 조선 시대 4천여수 시조 가운데 90여수 정도가 여성작인데, 그 작품들은 당시 시인 묵객이나 권세가가 여기(餘技)로 쓴 작품에 비해 예술성이 탁월함은 주지하는 바와 같다.
https://news.v.daum.net/v/20211209180611001
[문정희 칼럼] 찬 바람 속에 떠오르는 슬픈 언니들
[문정희 칼럼] 찬 바람 속에 떠오르는 슬픈 언니들
문정희 | 시인 “이화우 흩날릴 제 울며 잡고 이별한 임 추풍낙엽에 저도 나를 생각는가 천리에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 하더라” 조선 시대 시인 이매창의 절창이 떠오르는 스산한 계절의 끝자락
news.v.daum.net
'人文,社會科學 > 敎養·提言.思考'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양이와 쥐가 한패".. 올해의 사자성어 '묘서동처' (0) | 2021.12.14 |
---|---|
[백영옥의 말과 글] [230] 슬픔이 우리에게 묻는 것 (0) | 2021.12.11 |
[백영옥의 말과 글] 지옥에 대하여 (0) | 2021.12.04 |
[백영옥의 말과 글] [228] 살아남은 자의 슬픔 (0) | 2021.11.28 |
과거-현재가 소통하는 '사유의 방'[이즈미의 한국 블로그] (0) | 2021.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