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기념물 '들칠면조' 느시, 전북 만경강서 발견 머니투데이 2020.01.18 09:12 전북 만경강 일대에서 천연기념물 조류인 느시가 발견됐다. 강원 철원군, 경기 여주시 등 비교적 중북부 지역에서 발견된 느시가 전북에서 발견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소장 최종덕)는 만경강 일대에서 천연기념물 제206호 느시를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20.01.19
악명의 호주산불서 지켜냈다..2억만년전 '공룡나무' 200그루 중앙일보 2020.01.16. 14:42 호주 소방관들이 뉴사우스웨일스(NSW)를 초토화한 산불로부터 이른바 '공룡 나무(dinosaur trees)'로 불리는 ‘울레미 소나무(Wollemi pines)’ 군락을 지켜냈다고 가디언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에서 불에 타 누렇게 변한 주변 나무들과 달리 이 소나무 군..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20.01.17
[IF] "더 이상 '새대가리'라고 놀리지 마라" 조선비즈 2020.01.09. 03:15 나뭇가지로 몸 긁는 바닷새 포착 "사냥 활동 외 도구 사용은 처음" 까마귀는 막대 두개 연결해 복합 도구 만들어 먹이 꺼내기도 앞으로 우둔한 사람을 '새대가리'라고 놀려서는 안 될 것 같다. 예의 문제를 떠나서 새가 우리가 생각하는 만큼 지능이 모자라지 않기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20.01.10
97년 만에 가장 따뜻한 겨울 제주 '반팔 입고 철쭉도 활짝'(종합) 연합뉴스 2020.01.07. 17:00 낮 최고 23.6도 역대 최고 기온..내일부터 평년과 비슷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한겨울에 외투 없이 긴소매 셔츠 한장에 한 손에는 차가운 커피, 심지어 반소매까지. 겨울 실종, 남부지방 곳곳 '봄꽃' 개화 (전국종합=연합뉴스) 조남수 강덕철 박지호 기자 = 겨..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20.01.08
뉴질랜드 공원에 '시체꽃' 냄새 맡으려고 장사진 연합뉴스 2020.01.04. 19:16 사체 썩는 악취 '희귀 꽃'..짧게 피고 주기도 예측 못 해 (오클랜드=연합뉴스) 고한성 통신원 = 오클랜드에 있는 한 공원에 고약한 냄새 때문에 통상 '시체꽃'으로 불리는 아모르포팔루스 티타늄이 피어 냄새를 맡으려는 사람들로 장사진을 이뤘다. 겨울 정원에 핀 ..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20.01.06
[우리땅,우리생물] 동백나무 세계일보 2019.12.19. 22:29 얼마 전 종영한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은 많은 시청자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움츠린 동백꽃 봉오리가 정열적으로 찬 바람을 뚫고 붉게 피어나듯이 주인공 오동백은 마지막에 아름답게 피어났다. 동백꽃 하면 김유정의 소설 ‘동백꽃’이 떠오르는데, 소설 속..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12.21
[이굴기의 꽃산 꽃글]성주풀 경향신문 2019.12.16. 21:11 ⓒ이해복 코밑의 수염도 어쩌지 못하는데 저 멀리 늘 떠오르는 해를 어쩔 수 있겠는가. 혁명은커녕 벽지도 못 바꾸고 달력사냥이나 하는 연말이다. 굴뚝으로 들어가는 산타처럼 기해년도 쫄깃하게 수렴되어 이제 그 어떤 잘록한 구멍으로 들어갈 일만 남았다. 지난..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12.17
새가 날아든다 온갖 귀한 새가 날아든다..왕송호수, 희귀조류 보고됐다 뉴시스 2019.12.13. 09:34 큰기러기, 왕송호수 경기 의왕시 왕송호수 주변이 희귀조류의 둥지가 되고 있다. 의왕 조류생태과학관에 따르면 호수 물이 맑아진 이후 큰기러기 등 멸종위기 희귀조류가 잇따라 관찰되고 있다. 12일에는 호수 수면 위에서 큰기러기(Anser fabalis) 다수 개체가 화려한 비.. 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2019.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