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時事·常識

[야마구치의 한국 블로그]'저녁시간' 몰라 울어버린 일본 새댁

바람아님 2016. 7. 23. 23:41
동아일보 2016.07.05. 03:07

남편의 고향은 전북 순창군 금과면이다. 1년에 두세 번 산소에 가는데 옛날에는 자동차로 6시간 정도 걸렸다. 가도 가도 도착하지 않아 남편에게 “얼마나 더 가야 하느냐”라고 물었다. 남편은 “다 왔다”라고 답했다.

그 말을 듣고 거의 다 도착했나 싶어 안도했지만 좀처럼 목적지는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또 물었다. “언제 도착하는데?” 남편은 역시 “다 왔다”라고 말했다. 그런 대화가 몇 차례 오고간 뒤에야 목적지에 도착했다. 그 후 나는 남편의 “다 왔다”라는 말을 들으면 ‘30분은 더 가야 하겠구나’라고 판단하게 됐다. 처음에는 남편이 정확히 대답해 주지 않아 답답했지만 한국에서 살며 “멀지 않다”라는 말을 그렇게 표현한다는 것을 알게 됐다.

일러스트레이션 권기령 기자 beanoil@donga.com
야마구치 히데코 일본 출신 이주여성공동체 ‘미래 길’ 공동대표

‘저녁’이라는 개념도 나를 혼란스럽게 했다. ‘저녁노을’이라는 표현이 있는 만큼 저녁은 해가 지기 전인 오후 5, 6시쯤이라고 생각해 왔다. 그래서 결혼 전 남편이 “저녁에 만나러 갈게”라고 하면 나는 남편이 오후 5시쯤 오는 줄 알고 오후 4시부터 마중하러 나가려고 4층에서 1층까지 왔다 갔다 하면서 기다렸다. 그런데 남편은 오후 8시가 다 돼서야 왔다.


휴대전화도 없던 시절 저녁에 온다는 남편의 말만 믿고 몇 시간이나 기다리다가 오후 8시에 온 남편의 얼굴을 보고 울음을 터뜨려 버렸다. 지금도 한국에서 ‘저녁’이라는 단어가 좀 막연하게 쓰인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조금씩 한국말을 알아 가며 “이따가 만나자”고 하면 그날 몇 시간 뒤, “나중에 만나자”고 하면 그날이 아닌 다른 날 만나자는 의미라는 것을 알게 됐다. 모호한 약속에 관한 말들로 혼란스러웠다.


어느 날 버스 여행을 가는데 아침에 어떤 사람이 “갑자기 친척이 시골에서 오게 돼 못 간다”라고 했다. 다른 사람은 출발 시간이 다 돼서야 “몸살 나서 못 간다”라고 했다. 더 심한 경우는 “비가 오니 나가기 싫어졌다”라고 말한 사람도 있었다. 한국에서는 갑자기 생기는 일이 일본보다 많은 것 같다.


누굴 보고 싶으면 바로 행동에 옮기는 게 한국의 문화이니 어느 정도는 이해가 간다. ‘몸살’은 일본에 없는 단어지만 여자들의 노동량이 많은 한국이니까 역시 이해한다. 하지만 “비가 와서 나가기 싫다”고 약속을 어기는 건 이해되지 않았다. 일본은 비가 자주 내려서인지 비가 온다는 이유로 약속을 취소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런 일들을 겪고 나서 누군가와 약속할 때 “아침이 돼 봐야 알겠다”, “뚜껑을 열어 봐야 알겠다”라는 말을 실감하게 됐다. 오히려 일본인과 약속할 때 더 어색한 경우가 많다. 한국에 사는 일본인과 한 달 전에 약속을 하고 그 이후 한 번도 연락하지 않다가 한 달 뒤 약속 장소에서 딱 만나니 좀 무섭게 느껴졌다. 그간 서로에게 뭔가 사정이 생길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한 달 전 약속만 믿고 나오기 때문이다.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제일 소화하기 어려웠던 말은 “알아서 하라”라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능력대로 스스로 하는 것을 좋게 보지만 일본에서는 지시받은 대로 확실히 하는 게 더 좋다. 지시받은 이상을 하면 혼날 때도 있다. 팀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한 사람이 당돌한 행동을 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한국은 잘하거나 못하거나 개인의 생각이나 기량 자체를 평가하지만 일본은 각자 맡은 영역을 제대로 처리해 넘기는 게 중요하다. 회사라면 하나부터 열까지 상사에게 물어보며 일을 진행해야 하고 개인의 생각이 개입되면 안 된다. 한편으로는 “알아서 하라”라는 말이 “당신 생각대로 마음대로 하라”라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어 조심스러운 부분도 있다.


지금은 “알아서 하라”라는 말이 창조성을 최대한 높이는 말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는 정도까지 양심껏 일을 처리하면 자신감이 높아지고 본인의 성장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내게는 모호한 말이었지만 “신념대로 하라”라는 격려가 느껴지는 이 말의 개념을 정확히 알고 실천하면 누구나 성공한 사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경험을 토대로 말의 깊이를 알게 되고 모국 문화와 비교해 보며 다른 문화를 소화해 나가는 것은 행운이다.


야마구치 히데코 일본 출신 이주여성공동체 ‘미래 길’ 공동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