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이슈와 전망] '유니콘 요람' 중국서 배워라

바람아님 2018. 4. 30. 09:31


디지털타임스 2018.04.29. 18:07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핀테크지원센터장

최근 심심찮게 업계에서 유니콘이란 말이 자주 등장한다. 물론 유니콘 본래 의미인 '이마에 뿔이 한 개 나 있는 전설적인 말'을 뜻하진 않는다. 업계에서 말하는 유니콘이란 비상장 스타트업인데, 기업가치가 무려 10억 달러(1조원) 이상인 기업을 말한다.


스타트업이면 창업한지 몇 년 안돼서 매출도 이익도 신통치 않은 기업일 텐데, 기업가치가 1조원 이상이라면 뭔가 잘못된 것 아닐까 하시는 분들도 계실 것이다. 하긴 지금까지 상식으론 충분히 그렇게 생각할 만 도하다. 하지만, 문제는 이렇게 이상해 보이는 유니콘들이 글로벌시장에서 최근 1~2년간 거의 매주 한 개씩 탄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 귀에 익숙한 미국의 우버, 에어비앤비, 핀터레스트, 깃허브, 중국의 샤오미, 디디추싱, DJI 등이 다 유니콘기업들이다.


그럼 이런 유니콘 급증현상을 어떻게 봐야 하나. 두 가지 견해가 있는 것 같다. 하나는 버블의 결과물이란 의견이다. 2008년 리만사태 이후 미국, 유럽, 일본, 중국 할 것 없이 돈을 엄청나게 풀었기 때문에 고수익 고위험 벤처기업에 돈이 지나치게 몰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 다른 하나는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디지털플랫폼과 4차 산업혁명 때문이란 의견이다. 디지털플랫폼은 시간, 공간 제약 없이 세계 어느 곳이든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 10년 걸려 일어날 매출과 이익도 시장역할을 하는 디지털플랫폼을 활용하면 이젠 5년, 3년 아니 1년 이내에 가능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바닥에 깔려 있다. 개인적으론 버블성격이 없는 건 아니지만, 디지털플랫폼(디지털시장)을 통한 레버리지효과가 핵심이라는데 동의한다. 게다가 지금 전 세계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4차 산업혁명으로 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컴퓨팅, 빅 데이터 등 첨단기술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들 첨단기술스타트업들이 세계의 거의 모든 소비자와 연결돼 있는 디지털플랫폼을 타고 가면 그 매출과 이익의 폭발성은 엄청날 거란 생각이다.


유니콘강국은 어딘가. 미국 인터넷 전문매체 크런치베이스(CrunchBase)에 따르면 현재 유니콘기업들은 미국과 중국이 양분하고 있다. 톱은 역시 미국, 작년 기준 124개로 전체의 46.4%, 22개 업종에 걸쳐 참여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40년 가까이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신산업과 신기술을 주도해왔다. 따라서 미국이 톱인 것은 그다지 놀랄 일이 아니다.


놀라운 건 중국의 약진. 이미 일본, 독일, 영국 등을 따돌렸고, 유니콘 수도 90개로 전체의 33.7%, 17개 업종에 참여하고 있다. 특히 몇 가지 특징들이 시장관심을 끌고 있다고 한다. 첫째, 유니콘의 70~80%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인 ABCD(인공지능, 블록체인, 클라우드컴퓨팅, 빅데이터) 연관기업이란 점이다. 예컨대 핵심기술 중 하나인 블록체인의 경우 유니콘들을 중심으로 한 블록체인 특허가 작년 기준 428개로 미국의 390개를 앞질렀다. 4차 산업혁명이 디지털플랫폼혁명과 ABCD기술혁명의 융합이라고 보면 중국 유니콘들은 그만큼 미래산업의 핵심유망주, 슈퍼루키인 셈이다.


둘째, 유니콘의 탄생기간이 미국보다 단기란 점이다. 지난 10년간 중국의 유니콘 소요기간은 평균 4년으로 미국의 7년보다 훨씬 짧아서 향후 유니콘증가에 우위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


셋째, 세계 최대 유니콘도 중국업체란 점. 마윈회장이 1대주주로 있는 마의진푸가 화제의 유니콘. 한국에도 많이 알려진 즈푸바오(알리페이), 타오바오, 위어바오를 자회사로 하는 일종의 지주회사로 기업가치가 1500억 달러(16조원)에 육박할 거라 한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유니콘 증가요인으로 시장잠재력이 큰데다, 중국의 디지털, 모바일시장의 확장속도가 워낙 빠른 점, 중국정부의 혁신 신산업에 대한 '선(先)허용 후(後)보완정책' 등을 꼽는다.


그럼 우리나라는 어떤가. 4차 산업혁명으로 혁신성장을 도모하겠다곤 하지만, 유니콘은 쿠팡, 옐로모바일 등 3개에 불과하다. 좀 더 강력한 민관의 협력과 분발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