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敎養·提言.思考

[백영옥의 말과 글] [391] 오해와 이해 사이

바람아님 2025. 2. 1. 01:21

조선일보  2025. 1. 31. 23:50

설 음식을 몰래 차 트렁크에 잔뜩 실어 보낸 엄마 때문에 속상하다는 후배의 말을 들었다. 쉰 나물과 반찬을 버리다 한탄 섞인 한숨이 난 건, 이 일이 매년 반복됐기 때문이다. 귀한 음식을 아깝게 다 버리게 된다고 아무리 말해도 “나 같은 엄마가 어딨냐!”며 주고 싶은 건 꼭 줘야 하는 엄마가 점점 버겁다는 것이다. 이런 갈등은 꽤 흔하다. 관심과 걱정이 틀림없는 이 사랑을 그녀는 왜 부담과 생색으로 느낄까.

우리는 누군가를 사랑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사랑에 빠진 자신의 모습을 사랑하는 경우가 더 많다. 안타깝게도 부모 자식 간의 사랑은 더 그렇다.....사랑이 힘든 건 우리의 본질적 결핍을 건드리기 때문이다. 사랑에 빠진 사람 말투는 아이의 것으로 급격히 퇴행한다. 연인 귀에 “나 예뻐?”를 수시로 묻고, “그냥 너라서 다 예뻐!”란 말에 안도하는 식이다. 중요한 건 조건 없이 사랑한다는 일관된 행동과 메시지다. 

팔꿈치를 데었을 때라야 우리는 그것이 거기에 존재했음을 느낀다. 사랑은 온 존재를 데는 것이다. 그래서 사소한 것에 뛸 듯이 기쁘고, 별것 아닌 것에 절망하는 것이다. 뜨거울 때 먹어야 음식은 맛있다. 하지만 뜨거운 것에 입천장을 데는 경우는 얼마나 많은가. 당장 내가 먹이고 싶은 음식이 아니라, 잠이 더 절실한 아이를 기다려 줄 수 있을 때, 옥죄던 간섭과 부담은 너른 사랑이 된다.


https://v.daum.net/v/20250131235016980
[백영옥의 말과 글] [391] 오해와 이해 사이

 

[백영옥의 말과 글] [391] 오해와 이해 사이

설 음식을 몰래 차 트렁크에 잔뜩 실어 보낸 엄마 때문에 속상하다는 후배의 말을 들었다. 쉰 나물과 반찬을 버리다 한탄 섞인 한숨이 난 건, 이 일이 매년 반복됐기 때문이다. 귀한 음식을 아깝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