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活文化/그때그일그사람

조선시대 책들

바람아님 2013. 1. 27. 16:19

 

하나씩 클릭하면 확대해서 볼 수 있습니다.

 

- 조선시대  책들 -

 

정부인장씨실기
정부인장씨

두시언해
두시언해

숙향전
숙향전

숙향기
숙향기

민간처방전
처방전

사마방목
사마방목

해동역대명가필보
명가필보

명가필보
명가필보

동국호보
동국호보

전등신화
전등신화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변상도
묘법연화경

동국문헌록
동국문헌록

사소절
사소절

텬쥬셩교공과
톈주셩교공과

유서필지
유서필지

일사유사
일사유사

망우초
망우초

구운몽
구운몽

구해 남화진경
남화진경

의방활투
의방활투

병학지남
병학지남

대동역사
대동역사

차운암 설원록
설원록

서애선생문집
서애문집

활명부
활명부

동경대전
동경대전

효경대의
효경대의

조선상식
조선상식

책판
책 판

판심 도장
판심도장

당사주책
당사주책

홍만선의 산림경제
산림경제

아학편
아학편

묘법연화경
묘법연화경

격몽요결(擊蒙要訣)
격몽요결

표해록(漂海錄)
표해록

농암집(聾巖集)
농암집

동의보감
동의보감

어전친막제명첩
어전친막제명

훈유
훈유


순종국장록

금석집
금석집

어우집
어우집

사물잠
사물잠

정암선생문집
정암선생문집

이충무공전서
이충무공전서

매월당집
매월당집

오선생예설분류
오선생예설분류

아아록
아아록

정온선생문집
정온선생문집

가례증해
가례증해

고려사
고려사

아희원람
아희원람

전운옥편
전운옥편

증보삼운통고
증보삼운통고

덕천군 신도비명
덕천군신도비명

선원보략
선원보략

심경발휘
심경발휘

호산심서
호산심서

징비록
징비록

삼학사전
삼학사전

 

 

 

    책을 만드는 인쇄방법(보완자료)

 

   사찰 출판 : 대부분 고서는 사찰에서 만들어짐
                  통도사 연희
                  합천 해인사(고려 팔만대장경)

   책의 형태
           죽책
           권자본

   서적의 각 면을 부르는 명칭
           서수(書首) - 서적의 윗부분
           서근(書根) - 서적의 아랫부분
           서배(書背) - 서적의 제본된 부분(실이 묶인 부분)
           서구(書口) - 서배의 반대편.

   서계집 - 오침안정법 (실을 5매듭으로 묶음)
               종이못을 박고 난 뒤, 실을 사용하여 제본이 시작됨.

   능화문
          고서 표지에 숨겨진 문양(요철)
          미적인 측면,

   제작과정
          치자물 입힘(방충효과) ->; 표지에 면지를 대고 풀칠한다 ->
          밀랍 칠하기(방수효과) -> 밀돌로 문지른다.

   배접지(표지)에 파지를 사용 : 동시대,이전 시대의 파지로 중요한
                                         자료가 나오기도 함.


   1페이지: 세로 10행 20자

   간행연대 추정: 어미

   인쇄방법 :목판본/금속판

   다양한 활자

 

 

 

 

 

 

 

 

 

 

 

 

 

 

 

 

 

 

 

 

 

 

             '어미'는 서적의 제작시기를 구분하는 지표

 

              '어미'의 모양에 따라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고 한다.

 

                                            목판본과 금속본과의 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