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입력 2015.09.12

일상 속에서 흔히 목격되는 취소 방어기제는 아내에게 폭력을 행사한 남편이 다음 날 비싼 선물을 사 들고 들어가는 행위다. 아내에게 준 상처를 꽃이나 보석으로 상쇄하려는 의도인데 실제로 어떤 여자들은 폭력의 기억과 보석을 맞바꾸듯 좋아하기도 한다. 부정과 비리를 통해 큰돈을 번 사업가가 자선사업이나 장학금으로 수익의 일부를 희사하는 것도 취소행동에 해당된다. 다이너마이트를 개발해 번 돈으로 노벨상 제도를 만든 이들의 행위 기저에도 취소 방어기제가 깔려 있다.
모든 종교에 준비돼 있는 속죄 장치도 취소 방어기제의 일종이다. 종교는 본래 집단 구성원의 정신 건강을 돌보는 기능을 했다. 그들 지도자 중 누군가는 잘못을 범한 사람들이 느끼는 죄의식을 취소하는 장치를 마련해 줄 필요가 있음을 깨달았을 것이다. 회개, 속죄, 참회 등의 명칭을 가진 제도를 만들어 능동적으로 취소 방어기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었던 셈이다. 종교가 준비해둔 의례에 따라 속죄를 행하면 지난 잘못을 취소할 수 있다고 우리는 믿는다.

김형경 소설가
'其他 > 김형경의남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무력감에 싸인 청년들에게 필요한 것 (0) | 2015.09.26 |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남자의 우울증, 무력감과 폭력성 (0) | 2015.09.20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남자의 무기, 논리와 합리화 (0) | 2015.09.06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남자의 역할과 수많은 ‘자기’들 (0) | 2015.08.31 |
[김형경의 남자를 위하여] 충족될 수 없는 수직상승 욕망 (0) | 201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