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北韓消息

남북한 언어차이 심각..일반어 38%·전문어 66% 달라

바람아님 2016. 11. 1. 23:53
연합뉴스 2016.11.01. 15:59

겨레말큰사전편찬회, '남북한 언어차이 극복방안' 세미나서 발표

김성재 통준위 분과위원장 "탈북민 의사소통 문제 해결방안 필요"


남북 분단이 70년 이상 지속하면서 남북 간 언어 차이가 심화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용운 겨레말큰사전편찬회 편찬실장은 1일 통일준비위원회가 세종문화회관에서 개최한 '남북한 언어 차이 극복 방안' 공개세미나에서 "남한의 표준국어대사전(1999년)과 북한의 조선말대사전(2006년)을 비교한 결과, 일반어는 38%, 전문어는 66%의 차이를 보였다"고 밝혔다.

북한의 국어 교과서 [연합뉴스TV 제공]
북한의 국어 교과서 [연합뉴스TV 제공]

한 실장은 '남북한 어휘 차이와 공동사전 편찬 방향'이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이같이 밝히고 "특히 전문어의 경우 남측 전문가가 10개의 전문어를 말했을 때 북한 전문가는 3개 정도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질화가 심각한 상황"이라며 "체제 통일 이전까지 어문규범과 문법 등을 지속해서 논의할 수 있는 남북 합의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하수 연세대학교 교수는 '남북한 언어차이 극복의 언어사회학적 의미'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현재 (남북 공동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겨레말사전편찬사업'을 앞으로 더욱 확장하고, 지속적인 기획 사업으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며 "규모도 늘리고, 특수한 부문별 사전도 만들고 하면서 반세기 이상의 시일 동안 벌어진 그 틈새를 단단히 아교풀로 다시 이어 주는 작업을 계속하자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 교수는 "아마 대중적인 출판물을 (남북이) 공동으로 발행하기는 부담스러운 점이 많을 것"이라며 "그러나 학술 목적의 연구서적이나 자료집 같은 것은 매우 유용하고 서로에 대한 이론적인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전문가들을 위한 출판물에서부터 시작해 점점 대중의 세계로 옮겨 가는 것이 전략적으로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에서 국어교사를 하다 탈북한 인천장도초등학교의 강나현 교사는 '남북한 언어 차이의 실제'라는 주제의 발표에서 탈북 청소년들이 일상에서 겪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소개하기도 했다.


앞서 김성재 통준위 사회문화 분과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우리 민족은 단일민족이기 때문에 같은 말과 글을 사용하지만 70년이 넘는 분단과정에서 표현들이 많이 달라졌다"며 "그동안 사전적 언어도 달라져서 남과 북이 겨레말큰사전을 공동으로 연구, 집필하는 일도 했다"고 밝혔다.


김 분과위원장은 "더 시급한 일은 우리나라에 온 탈북 이주민들이 일상 사회 생활에서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잘 안 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뒤 "탈북 이주민들은 마을에서, 학교에서, 일터에서 언어소통에 어려움이 있어서 사회생활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탈북민이 겪는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