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文,社會科學/自然과 動.植物

굶주림 앞에서도 '평생의 짝' 포기않는 새 찾았다

바람아님 2015. 11. 17. 00:18
서울신문 2015-11-16

참새목의 박새가 자신의 짝과 떨어질 바에는 차라리 먹을 것을 포기하는 독특한 습성을 가졌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옥스퍼드대학의 동물학 전문가인 조쉬 퍼스 박사는 옥스퍼드셔 인근의 한 수풀산림에 서식하는 박새가 자신의 짝과 얼마나 끈끈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의 사회적 관계의 양상 등을 살피기 위해 2007~2014년 3198마리의 박새를 대상으로 추적·관찰했다.


일부 동물은 일생을 단 하나의 짝과 어울려 생활하는데, 참새과의 박새 역시 이 같은 습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처음 확인한 것.


박새
박새

 

퍼스 박사 연구진은 이를 입증하기 위해 먹이가 가득 든 2개의 상자를 준비했다. 그리고 박새의 다리에 무선주파수로 식별이 가능한 장치를 매단 뒤 한 상자는 암컷만, 또 다른 상자는 수컷만 들어갈 수 있도록 조작했다.

그러자 박새 커플 중 수컷은 먹이를 얻기 위해 자신만이 들어갈 수 있는 상자에 다가가는 것이 아닌, 자신의 암컷 짝 곁에 머무는 것을 선택했다. 일주일 동안 단 이틀만 먹이 상자를 열어두고 나머지는 닫아놓았기 때문에 굶어 죽을 수 있는 상황에서도 박새 수컷의 선택은 같았다.


이후 이 박새 커플은 서로를 도와 함께 먹이를 취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도 했다. 수컷이 여전히 암컷의 곁을 떠나지 않은 상태에서, 암컷이 먹이 상자 앞을 뛰어 다니며 먹이 상자를 열면, 문이 열린 사이 수컷이 재빨리 먹이를 취하는 형태였다.

연구를 이끈 퍼스 박사는 “박새 수컷은 암컷 짝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를 함께 기르기 위해 ‘차선’을 택하는 모습을 보였다. 먹이 앞에서도 서로 떨어지는 것을 선택하기 보다는, 함께 먹이를 먹으며 곁에 머물 수 있는 방법을 찾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새 커플은 ‘합동 작전’은 야생의 새에게도 사회적인 관계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입증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결과는 의학 전문 학술지인 ‘현대생물학저널’(Journal Current Biology) 최신호에 실렸다.

한편 박새는 평지나 산지, 나무가 있는 정원이나 도시 공원 등에서도 쉽게 볼 수 있는 텃새로, 한국과 일본, 영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서식한다.


송혜민 기자huimin021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