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中國消息

중국인들 결혼, 우리와 크게 달라요

바람아님 2016. 9. 25. 00:10
|동아일보 2016-09-22 02:09
중국인 캉닝(康宁) 씨 가족사진

◆ 35년간 1자녀 정책, 형제남매 간 우애 잘 몰라 

‌중국인의 가정은 주로 3인 가족이다. 1980년 시작된 1가구 1자녀 정책 때문이다. 이로 인해 1960년대 매년 2300만 명씩 증가하던 인구는 최근엔 650만 명대로 줄었다. 1자녀 정책이 실시된 35년간 억제된 신생아만 줄잡아 4억 명. 지난해 1가정 2자녀 정책으로 바뀌었지만 아직은 별다른 출산율 변화가 없다. 양육비 등이 급등해 이제는 각 가정이 두 자녀를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극단적인 산아제한정책으로 중국에서만 통용되는 단어도 있다. 자녀가 하나인지라 가정에서 황제처럼 자란 남녀 아이를 이르는 소황제(小皇帝), 소공주(小公主), 혼외자가 아니라 부부 간에 낳았어도 둘째, 셋째여서 호적에 올릴 수 없는 헤이하이쯔(黑孩子) 등이 그것이다.

1자녀로 인해 형제 간 우애를 잘 모르는 게 중국이다. 산아제한정책으로 인한 호적에 올리지 못한 자녀는 학교도 갈 수 없다. 대부분의 서커스 단원은 이런 헤이하이쯔 중에서 충원된다.

◆ 중국의 전통 결혼, 엄격한 육례(六禮) 따라

중국 관련 법률에 따르면 남자는 22세, 여자는 20세가 넘으면 결혼할 수 있다. 과거 중국에서는 육례(六礼)라는 엄격하고도 까다로운 절차를 따라 결혼을 했다.
 
첫째 납채(納採), 중매인을 통해 신랑의 사주단자(四柱單子)를 신부 측에 보낸다.
둘째 문명(問名), 중매인을 통해 신부 측의 이름, 출생일을 묻는다.
셋째 납길(納吉), 신부 측의 이름, 출생일 등을 가지고 신랑 집에서 길흉을 알아본다.
넷째 납폐(納幣), 신부 측에 예물을 전달한다.
다섯째 청기(請期), 신랑 측이 결혼식 날짜를 신부 측에 알리고 신부 측의 동의 여부를 구한다.
여섯째 친영(親迎),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서 결혼식을 올린다. 

전통 사자춤

중국 전통 혼례엔 중국의 상징인 빨간색과 전통 사자춤과 함께 사자탈이 등장한다. 빨간색은 중국인에게 행운과 부를 상징하는 귀한 색으로 ‘사자’ 가 사악한 기운을 물리친다는 의미다. 

전통 혼례식

전통 주 함께 마시기

◆ 최근 중국 결혼식 서양화

문화대혁명 등 사회주의 계획경제 시절엔 독특한 결혼 혼례 절차가 있었다. 먼저 직장에 결혼 의사를 상급자에게 보고하고 ‘미혼증명서’를 발급 받은 뒤 ‘건강진단서’를 발급 받고 결혼한 뒤 결혼등록 부서에 신고하는 절차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한국처럼 자유의사에 따라 결혼하고 신고만 하면 끝난다.
 
중화인민공화국 여권

◆ 결혼식 비용 보통 3000만 원, 양측 고향서 2번 치러 

중국에서는 결혼식을 올리기까지 집값과 신혼여행 비용을 제외하고 피로연, 예물, 친인척 예물, 예식장 등을 포함한 금액은 한화로 약 3000만 원이 넘는다. 혼례식을 가급적 성대하게 치르고 싶은 중국인들의 생각이 반영된 관례다. 소득에 비해 턱없이 비싼 결혼 비용 때문에 한국의 젊은이와 마찬가지로 중국의 청년들도 비싼 결혼식 비용 때문에 고민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종종 신혼여행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다.

신랑과 신부가 사는 동네가 많이 떨어져 있을 경우 각각 자신의 고향에서 한번씩 결혼식을 치르는 경우도 있다. 한 나라에서 이게 무슨 일이지 하는 분들도 있겠지만 나라가 크다 보니 이해할 만 하다. 북쪽의 베이징에 사는 여성이 남방의 쑤저우(蘇州)로 시집을 갔다고 하면 베이징과 쑤저우에서 각각 결혼식을 올리고 근무지에서도 작은 피로연을 갖는다. 결혼식에 참석하는 친인척들이 몇 천km 떨어진 곳까지 올 수 없기 때문에 신랑, 신부가 각각 현지로 가서 결혼식을 진행한다고 보면 된다. 

현대의 결혼식 모습

중국 결혼식엔 초청된 사람만이 간다. 우리처럼 무더기로 초청하고 오든 말든 상관 안 하는 방식이 아니다. 초청하면 참석 여부를 알려줘야 하고 그에 따라 혼주는 참석할 하객의 테이블을 마련한다. 주로 가족, 친지, 친구, 회사 동료 등 하객 순으로 테이블에 앉는 자리가 지정돼 있다.
중국은 주례자 없이 사회자가 결혼을 진행하며 신랑신부가 함께 팔짱을 끼고 식장으로 입장한다.

◆ 결혼 날짜, 축의금 모두 짝수 선호


중국에서는 보통 결혼식 날짜를 짝수로 정한다. 양력과 음력으로 환산했을 때 2, 4, 6, 8, 10의 숫자가 들어가고 요일은 화요일과 금요일을 선호한다. 중국 사람들은 숫자 8을 좋아한다. 그래서 결혼식 시간도 대부분 ‘8’이 들어가는 시간으로 한다. 중국은 지역에 따라 결혼 시간도 다르다. 북방지역에서는 점심에, 남방지역에서는 저녁에 결혼식을 올린다. 이는 남방은 주로 덥기 때문에 더위를 피하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홍빠오(红包)

◆ 축의금 우리보다 훨씬 많이 내

중국에서는 축의금 봉투를 훙바오(红包)라고 하는데 빨간색을 좋아하는 중국인들은 봉투 또한 빨간색을 사용한다. 한국처럼 흰 봉투에 축의금을 넣어 주면 절대 안 된다. 흰 봉투는 ‘죽음’을 뜻하며 주로 부의금 봉투로 쓴다. 또 중국인들은 짝수를 좋아하기 때문에 축의금 또한 보통 짝수의 숫자로 낸다. 200위안, 600위안, 800위안이 보통이지만 홀수인 100위안, 1000위안은 괜찮다. 지역에 따라서 300위안, 500위안도 기피하지 않는다. 축의금은 한국과 달리 자신의 월급의 3분의 1, 심지어 2분의 1을 내기도 한다. 
BMW 결혼식 차량

중국에서는 체면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중국인들은 결혼을 곧 자기 체면을 나타내는 것이라 생각하여 결혼식 규모에 민감하다. 그래서 생겨난 문화중 하나는 고급 외제차를 웨딩차로 사용한다. 차는 상대 측을 존경하는 뜻으로 고급차를 대절한다. 주로 남방 쪽에서 많이 대절한다. 자동차 사용 유무는 신랑 신부가 합의 하에 선택할 수 있다. 차는 주로 BMW나 벤츠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결혼 당일 신랑이 신부의 집으로 가서 신부와 신부 측 하객들을 결혼식장으로 데리고 오는 풍습이 있다. 한국보다 결혼 적령기가 이른 중국은 고향을 찾는 명절 때 맞선 스케줄을 잡고 인연을 만드는 경우가 많다.

◆ 하객에게 사탕을 준다. 왜?

중국 결혼식에서는 결혼 답례 선물로 기념품으로 보통 작은 케이크와 설탕, 계란을 준다. 하객 테이블 당 담배, 술, 음료수 등을 올리고 우리와 달리 초콜릿 또는 사탕을 준다. 결혼 축하 사탕은 하객들에게 기쁨과 달콤함을 안겨주기 바라는 마음에서 생겨난 풍습이다. 

이단비(李丹飛) 자유여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