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단독] '1차 시추 예산' 10%밖에 확보 못했다…나머지 900억 원은 여전히 안갯 속

바람아님 2024. 6. 11. 05:50

한국일보  2024. 6. 11. 04:31

1차 시추 예상 비용 약 1,000억 원
10% 해당하는 약 100억 원만 확보
"올해 용역 계약 및 시추 착수는 가능"
나머지 900억 원 내년 예산에서 확보 필요
내년 예산안 확정 안 돼...국회 설득해야
해외 투자도 필요...관련 법 개정 시도

정부가 12월 동해 가스전 1차 시추를 위해 확보한 재정이 약 880만 달러(약 100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추선 운용 등 각종 용역 계약을 하고 실제 작업의 시작까지는 가능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정부는 1차 시추공 예산으로만 약 8,800만 달러(약 1,000억 원)를 예상하는데 나머지 약 90%에 해당하는 7,920만 달러(약 900억 원)는 2025년 예산으로 마련해야 한다. 하지만 아직 내년 예산이 확정되지 않았고 국회 심의도 거쳐야 해 추가 비용을 어떻게 채울지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석유공사는 이를 연말까지 글로벌 시추 기업 '씨드릴'과 계약 등 각종 용역 계약에 사용할 계획이다. 보통 시추는 계약 이후 발주자가 원하는 일정에 맞춰 시작하고 작업이 진행되는 정도에 따라 잔금을 주는 구조다. 최남호 산업부 2차관은 이날 열린 브리핑에서 "올해 시추에 착수할 수 있는 비용은 확보됐다"고 말했다.

정확한 위치 결정은 7월...12월 시추 착수하면 내년 6월에 결과
7월에 시추 위치가 확정되면 내년 3월까지 시추가 이어질 전망이다. 이후 3개월 동안 시추 결과물을 분석한다. 정부는 내년 6, 7월쯤에는 이를 바탕으로 석유, 가스가 매장돼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해저광물자원개발법 등 제도 개선도 병행한다. 해당 법이 탐사와 소규모 생산에 중점을 두고 만들어져 이번 대규모 시추에 맞게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다. 


https://v.daum.net/v/20240611043113021
[단독] '1차 시추 예산' 10%밖에 확보 못했다…나머지 900억 원은 여전히 안갯 속

 

[단독] '1차 시추 예산' 10%밖에 확보 못했다…나머지 900억 원은 여전히 안갯 속

정부가 12월 동해 가스전 1차 시추를 위해 확보한 재정이 약 880만 달러(약 100억 원)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됐다. 시추선 운용 등 각종 용역 계약을 하고 실제 작업의 시작까지는 가능할 수 있게 됐

v.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