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창시자 공자, 학파를 두고 '儒'라고 표현한 이유 [출처;중앙일보 2014-9-27일자] 9월 28일은 공자(孔子)탄신 2565주년 되는 날이다. 공자는 '유가(儒家)'를 일으킨 창시자이자, 동아시아 정신문명을 열어간 대스승이다. 그의 학파를 두고 왜 '儒(유)'라고 표현했을까. '儒'는 선비를 뜻한다. 굳이 오늘 말로 표현하자면 '학자'다. 그러나 글자가 ..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28
[백성호의 현문우답 ] 황벽 선사는 왜 사미를 때렸을까 [출처 ; 중앙일보 2014-9-27일자] 백성호/문화스포츠부문 차장 #풍경1 : 저녁식사 자리였습니다. 맞은편에 앉은 목사님은 “나는 불교를 존중한다. 한때는 불교에 관심을 가졌었다. 그런데 불교는 결국 ‘공(空)’을 이야기하지 않나. 마지막에는 공만 남는 거다. 어쩐지 허탈하다”고 말하더..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27
[백성호의 현문우답] 가도 30방, 안 가도 30방 백성호/문화스포츠부문 차장 #풍경1 : 조선 500년과 일제 식민지를 거치며 한국 불교는 쪼그라들었습니다. 근대에 한국 불교를 다시 일으킨 이가 경허 선사(1849~1912)입니다. 경허가 아꼈던 제자 셋이 있습니다. 수월(水月), 만공(滿空), 혜월(慧月). 그들을 ‘경허의 세 달’이라 부릅니다. 하..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22
[허준혁칼럼] 감나무에게서 배우는 교훈 [이미지=허준혁] [허준혁칼럼] 감나무에게서 배우는 교훈 차례상에는 감이 있다. 아무리 커도 열매를 한번도 맺지않은 감나무는 나뭇가지속에 검은 신이 없고 감이 열린 나무는 검은 신이 있다. 감을 차례상에 놓는 것도 이러한 감의 속성이 자식을 낳고 키우는데 그만큼 속이 상하는 부..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21
[윤희영의 News English] 러시아의 새 戰術 : New art of war (출처-조선일보 2014.09.11 윤희영 디지털뉴스부 차장) 미국과 유럽이 러시아의 새 전략에 대응하느라 애를 먹고 있다(struggle to counter Russia's new tactics). 우크라이나를 공략하면서 변칙적 전술을 구사하고(make use of unorthodox tactics) 있기 때문이다. 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에서 나폴레옹군(軍)..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11
[데스크에서] 蘇東坡의 논술 학습법 (출처-조선일보 2014.09.10 김기훈 프리미엄뉴스부 차장) 수능 9월 모의고사가 끝나자 마음 급한 학부모들이 전화를 걸어왔다. 프리미엄조선의 교육 필진에 논술을 잘 쓸 수 있는 요령을 물어달라고 했다. 수험생마다 개성이 다른데 글쓰기의 왕도(王道)가 있을까. 답변 아이디어를 얻으려고..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9.10
[만물상] 수학 천재들 (출처-조선일보 2014.08.15 방현철 논설위원) '직각삼각형 빗변의 제곱은 다른 두 변 제곱의 합과 같다.' 중학교 때 배운 피타고라스 정리(定理)다. 그런데 세제곱, 네제곱 등 제곱 횟수를 늘려가면 어떻게 될까?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페르마는 세제곱 이상에선 그런 등식을 만족시킬 수 없다..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8.15
[만물상] 에볼라 바이러스 (출처-조선일보 2014.08.05 김철중 논설위원·의학전문기자) 1976년 아프리카 중부 콩고공화국에서 정체불명 괴질이 발생했다. 환자는 고열에 시달리고 내부 장기에 출혈이 있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사이, 환자는 300여명으로 늘었다. 치사율은 90%까지 치솟았다. 나중에 환자 피에서 새로운 ..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