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호의 현문우답] 통찰력 키우는 독서법 [출처 ;중앙일보 2014-10-18일자] 백성호/ 문화스포츠부문 차장 “곰팡이가 핀 책이 아니라 명상에서 진리를 찾아라. 달을 보기 위해선 연못이 아니라 하늘을 바라보라.” 경전의 한 구절이냐고요? 페르시아의 오래된 속담입니다. 기나긴 세월 속에서도 이 속담은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오..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18
‘아시아’라는 말의 기원 3000년 전 설형문자에 기록 본래 뜻은 ‘비유럽’인데… [출처 ; 중앙선데이 2014-10-12일자] 이어령과 떠나는 知의 최전선 <5> ASIA와 亞細亞 막판에 북한의 벼락 손님들까지 방문해 화제가 된 아시안 게임으로 이야기가 시작됐다. 그런데 이번에도 의외의 질문이 돌아왔다. “정 부장, 아시아란 말이 무언지 생각해본 적 있어요?” 아시아. 영어..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13
568돌 맞은 한글날 "한글은 우리 민족의 얼굴"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지 올해로 568돌이 되었다. '신비로운 문자' 혹은 '과학적인 문자'라는 극찬을 받는 한글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도 지정된 자랑스러운 우리의 문화 유산이다. 세계의 많은 문자 중에서 '만든 사람', '반포일', '글자 원리'를 아는 문자는 한글이 유일하다. 이..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10
[씨줄날줄] 훈맹정음/서동철 논설위원 [출처 ; 서울신문 2014-10-9일자] 송암 박두성(1888~1963) 선생은 ‘시각장애인의 세종대왕’으로 불린다.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창제했듯, 박 선생은 시각장애인을 위해 훈맹정음(訓盲正音)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은 15세기 위대한 업적이지만, 시각장애인들..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09
[기고] 한글 논문 천대하면 문화 선진국 못 된다 (출처-조선일보 2014.10.07 김혜숙 이화여대 철학과 교수·한국인문학총연합회 회장) 영어가 수(數)를 세는 데 합리성을 결여하고 있어서 미국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이 아시아권 국가보다 떨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얼마 전 발표되었다. 언어가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고, 사고는 인간 삶을 지..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07
[Book]영어식 표현에 물든 우리말 제대로 다시 배워라 (출처-조선일보-2014.10.04 이한수 기자) 이수열 선생님의 우리말 바로쓰기 이수열 지음|현암사|428쪽|1만8000원 누구나 말을 하고 글을 쓰는 시대지만 누구나 올바른 '말글' 생활을 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두드러진 잘못은 무턱대고 된소리로 말하는 경향이다. 불법(不法)을 '불뻡'으..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04
[생각해 봅시다] 당신을 '당신'이라고 부르지 못하는 불편한 현실 (출처-조선일보 2014.10.03 오윤관 국제섬유신문 편집국장) "아버님(필자는 50대다), 어디가 불편하십니까? 그리로 앉으세요." "선생님, 앉을 때 자세가…." "환자분, 주사실로 가셔서…." 얼마 전 목디스크로 병원에 갔을 때 담당 의사와 간호사가 필자에게 한 말이다. '아버님', '환자분', '선생..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03
[윤희영의 News English] 비행기 안의 진실과 거짓 (출처-조선일보 2014.10.02 윤희영 디지털뉴스부 차장) 비행기 이·착륙 중에는(during take-off and landing) 전자 기기 전원 끄라는(turn off your electronic devices) 다그침을 받곤 했다. 항법 장치에 교란을 일으킨다는(interfere with navigational equipment) 이유였다. 그러나 일부 항공사는 그런 근거 없는 믿음.. 人文,社會科學/日常 ·健康 2014.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