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6)] 도쿄도 열집 중 한집 '빈집'.. 집값은 25년 전의 '⅓토막' 파이낸셜뉴스 2016.07.03. 18:10 부동산신화의 몰락 부동산 활황기 때 '공급과잉' 고령화로 젊은층 줄어든데다 일본은행 대출규제로 거품붕괴 베노믹스 이후 자금조달 쉬워져 최근 대도시 중심 서서히 회복.. 초고령화로 완전 회복은 어려워 아파트 많은 한국은 더 큰 문제 빈집은 보조금 들..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13
[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5)] 근로자 3명이 노인 1명 부양하는 시대 눈앞 파이낸셜뉴스 2016.06.30 16:43 2030년 노인 7명 중 1명이 치매 위험 초고령사회 향해가는 한국 #.서울 종로 탑골공원 뒤편에 위치한 낙원동 먹자골목. 일반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점심시간대보다 다소 이른 시간, 노인들이 하나둘 식당으로 모여든다. 허름한 식당 안을 다닥다닥 메운 테이블이 ..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12
[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4)] 투자·고용 악화되면 내수 더 위축.. 기업 경영에 부메랑될 것 파이낸셜뉴스 : 2016.06.27 18:34 투자·고용이 기업 미래 결정엔고 반전에 긴장한 日.. 엔화약세 유도한 아베노믹스엔고에 다시 무용론 불거져.. 기업들 생산기지 속속 해외로과거와 같은 고성장 없다.. 물질적 풍요는 반드시 한계성장률보단 삶의 질 높여야.. 고용안정·윤리경영도 필수 지..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11
[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3)]日 청년들 직업 외면, '프리터' 선호.. 기업 구인난 호소 [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3)] 파이낸셜뉴스 : 2016.06.26 18:30 日 일자리 구조개혁 실패아베노믹스로 기업경기 호전.. 신규채용 크게 늘어났지만..부모세대의 버블붕괴 지켜본 청년들 "적게 벌고 적게 쓰자"직업 없이 알바로 생계 유지.. 미국 유학도 눈에 띄게 줄어일본기업들 해외 ..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10
[충무로에서]올라탈 기회는 더 아시아경제 2016.07.08. 11:00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에 대한 막연한 공포가 조금씩 진정되고, 몇몇 우리나라 기업들의 분기 실적이 기대를 상회하면서 금융시장은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제가 만난 기업임원들에게서는 무거운 표정이 읽힙니다. 4~5년 뒤..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09
커지는 대내외 불확실성..재계 하반기 경영전략 '고심' 뉴시스 2016.07.05. 10:09 브렉시트·환율·국감 등 불확실성 확대…수요위축 우려 삼성 현대차 LG 등 투자확대·경영혁신 등 대응전략 강화 "대내외 경영 환경이 불투명하다. 위기에서 더 큰 도약을 이뤄내기 위해 하반기에 더욱 철저한 대비로 경영 목표 달성해 나갈 것이다." 재계 한 고위..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06
[뷰앤비전]브렉시트의 교훈, 4차산업혁명 아시아경제 2016.07.04. 14:02 영국민이 유럽연합(EU) 탈퇴, 브렉시트(Brexit)를 선택한 이유는 여러 가지일 수 있지만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된다. 31조원에 달하는 EU 분담금과 물밀듯 밀려오는 동유럽권 이민자에 대한 반감이 그것이다. 브렉시트로 인한 영향과 파장은 여러 갈래에서 나오고 있..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7.05
[한국, 저성장 일본 반면교사 삼아라(2)] 불황에도 청년 일자리 넘치는 日.. 비결은 탄탄한 중견기업층 파이낸셜뉴스 2016.06.23. 17:10 日 경제정책이 주는 교훈 20대 고용률 韓 58% 日 75%.. 취업 안하는 고급인력이 문제 日 엔화 믿고 과감한 양적완화.. 우리가 따라하기엔 위험한 정책 2020년 도쿄올림픽 효과 의문.. SOC보단 사회복지에 재정써야 일본은 '잃어버린 20년'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 2012년 .. 時事論壇/産業·生産·資原 2016.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