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學,藝術/아트칼럼

광장 공포증을 앓는 뭉크가 본 세상 [으른들의 미술사]

바람아님 2024. 6. 13. 08:28

서울신문  2024. 6. 13. 08:02

카를 요한 거리는 노르웨이 왕궁에서 중앙역에 이르는 1㎞ 남짓한 거리다. 거리 주변에 시청, 국회의사당, 상점, 레스토랑이 있어 늘 북적인다. 양옆으로 길게 늘어선 관공서 건물과 상점으로 카를 요한 거리는 19세기나 지금이나 사람들로 북적이는 번화한 거리다.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에 나오는 사람들의 옷차림으로 봐서 초겨울이다. 북유럽의 겨울은 유난히 길다. 해가 늦게 뜨고 오후 3~4시 경이면 벌써 어둡다. 사람들의 얼굴 표정은 모두 ‘절규’에서 본 것과 같다.

표정 없는 사람들 한 무리와 멀찌감치 떨어져서 걸어가는 한 남자가 있다. 학자들은 검은 실루엣으로만 표현된 이 남성을 뭉크 자신으로 본다. 무리에 섞이지 못하는 뭉크는 광장공포, 폐쇄공포, 대인 기피 등 다양한 공포감을 가지고 있었다.

1년 전 뭉크가 그린 ‘카를 요한 거리의 봄날’과 ‘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을 비교해 보면 뭉크의 기법과 심리는 많이 변화했다. ‘카를 요한 거리의 봄날’은 화창한 어느 봄날의 카를 요한 거리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밝고 따뜻한 색채로 그린 봄날의 카를 요한 거리는 사람들마저 밝고 경쾌해 보인다. 뭉크는 프랑스에서 접한 신인상주의 기법을 통해 밝은 햇살을 담아 낼 수 있었다....‘카를 요한 거리의 저녁’에서 드러난 뭉크의 불안한 미래를 드러낸 작품이며 끝을 모르는 불안함은 불길한 예감을 더한다. 뭉크는 객관적 현실보다 주관적인 감정을 강조했다. 즉 같은 거리를 그렸으나 감정이 다르면 다른 그림으로 보인다. ‘칼 요한 거리의 저녁’은 뭉크의 불안한 심리 상태를 표현한 작품이다.


https://v.daum.net/v/20240613080250576
광장 공포증을 앓는 뭉크가 본 세상 [으른들의 미술사]

 

광장 공포증을 앓는 뭉크가 본 세상 [으른들의 미술사]

[서울신문 나우뉴스]카를 요한 거리는 노르웨이 왕궁에서 중앙역에 이르는 1㎞ 남짓한 거리다. 거리 주변에 시청, 국회의사당, 상점, 레스토랑이 있어 늘 북적인다. 양옆으로 길게 늘어선 관공서

v.daum.net